올해는 국제통화기금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은지 10년이 되는 해인데요.
그동안 엄청난 혈세가 기업구조조정에 쓰였는데, 얼마나 회수가 됐을까요?
천상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97년. 한보철강과 기아그룹이 잇따라 쓰러집니다.
대출금을 떼이게 된 은행들과 부실기업의 회사채를 갖고 있던 투신사도 동반부실에 빠집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급격한 외화유출로 외환보유액까지 바닥을 드러내자 결국 정부는 국제통화기금 IMF로부터 550억달러를 긴급 지원받습니다.
인터뷰 : 임창렬 / 당시 경제부총리 - "IMF와 우방국들의 지원이 한국경제의 새로운 변신은 물론 세계경제의 안정에 큰 역할을 하게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임을 약속드린다."
이런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처리를 위해 설립된 부실채권정리기금이 올해로 10년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금융기관 부실채권 인수에 투입된 국민혈세는 모두 39조4천억원.
기금을 운용하는 한국자산관리공사, 캠코는 2005년 대우종합기계와 지난해 대우건설 매각을 통해 투입된 공적자금보다 많은 41조5천억원을 회수했습니다.
인터뷰 : 김우석 / 캠코 사장 - "쌍용건설과 대우조선, 대우인터내셔날 등의 성공적인 M&A가 이뤄지면 추가로 3~4조원을 더 회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공적자금 전체적으로 보자면 회수율은 50%에 불과합니다.
외환위기 당시 IMF 한국 담당국장을 역임한 휴버트 나이스 전 도이체방크 아시아 태평양 고문은 한국의 외환위기 극복과정을 높이 평가하고, 한미FTA 등 끊임 없는 변화와 개방을 주문했습니다.
인터뷰 : 휴버트 나이스 / 전 IMF 아시아-태
한편 캠코는 지난 10년간의 부실채권 노하우를 살려 중국 등 1조달러로 추정되는 아시아 부실채권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mbn뉴스 천상철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