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이 창조경제의 밑바탕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업공개(IPO) 부진, 채권시장 양극화, 연금의 낮은 시장 기여도 등 3가지 과제를 풀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증권학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5일 ‘자본시장과 한국 경제의 성장:창조경제의 장터’를 주제로 정책 심포지엄을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 매일경제신문 후원으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는 자본시장 문제 가운데 하나로 IPO 기업들의 장기적 성장 둔화가 꼽혔다. 증시에 상장한 기업들의 영업실적이 상장 이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나빠진다는 것.
조성훈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12년 이후 유가증권·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445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기업공개 이후 신규 자금 유입으로 자산은 늘어났지만 비슷한 비상장사에 비해 수익성은 오히려 뒤떨어지는 결과가 나왔다”며 “증시 상장이 외형 확대에는 도움이 되지만 기업의 궁극적인 가치 확대에는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상장 예정 기업에 대한 ‘옥석 가리기’가 부실하게 진행되면서 시장 신뢰를 깎아내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양극화가 날로 심해지는 채권시장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정희준 전주대학교 경영대 교수는 “관계형 금융시장 활성화와 담보부채권 발행 확대로 채권시장 다양성을 증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본시장이 새로운
[석민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