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현상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선 "두 차례의 금리 인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의 일문일답.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전망은.
10월에 은행의 가계 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주택담보대출이 6조원 늘었다. 가계대출이 주담대 중심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주택 경기 상황이 어떻게 정리될 것인지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다. 주택 수급 상황과 인구구조변화 등을 감안해 볼 때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감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가계 대출 급증 현상은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은.
앞으로의 금리 정책은 성장 물가 등 거시 경제 상황과 금융 안정 리스크를 균형 있게 고려해 마련할 것이다. 앞으로의 방향을 예단할 수는 없다. 가계 대출 증가 등 금융 안정 리스크에 대해서는 계속 유의하겠다.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 파급 효과를 어떻게 보는지.
기준금리는 파급 시차가 있기 때문에 효과를 예측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금리 정책의 파급 경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손쉽게 관측할 수 있는 것이 은행의 여수신 금리 조정을 통한 경로다. 8~10월 두 차례에 걸쳐 50bp를 인하했는데, 현재 여수신 경로를 포함한 금리정책의 파급 경로는 비교적 원활히 작동되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나타날지는 두고 봐야 한다. 오랫동안 금리정책을 제약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많이 있었다. 개선 노력도 같이 병행돼야만 정책 효과가 나타난다고 본다.
▲엔화 약세에 대한 입장은.
용인할 수 있는 선을 정해두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확언할 수 없다.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변수다. 엔화가 약세가 되면 수출경쟁력 약화로 인식돼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다.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금리 이외에도 많다. 환율을 금리로 대응할 수 없다. 우리는 환율 변화가 가져올 영향을 예상하고 금리정책을 펼친다. 환율 수준을 타겟팅해 금리정책을 마련하지 않는다.
▲가계대출 증가와 같은 금리 인하 정책의 부작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금리를 인하할 때 예상 못 했던 건 아니다. 금리 인하 시 가계대출 증가에 따른 리스크, 경기 리스크를 같이 놓고 봤을 때 경기 모멘텀을 살리는 게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가계대출 증가를 예상하지 못한 것은 절대 아니다. 경기를 포함해 경제 상황과 금융 안정을 균형 있게 보겠다.
▲한은의 물가 전망치 달성 가능한 것으로 보는지.
2013~2015년 물가목표가 2.5%에서 3.5%였는데, 현재 많이 밑돌고 있다. 목표 당시 적정 인플레이션보다 낮아졌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겠다. 당시 물가목표를 정할 때 성장 잠재력 저하, 글로벌 경기 하강 등의 요인들을 미처 감안하지 못 했다. 앞으로 1년 남았다. 서둘러 종료하기보다 중장기 물가 전망을 분석해서 2016년에 물가목표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경제주체의 심리가 나빠지고 있다.
경제주체 심리 부진 우려하고 있다. 대외여건에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다고 본다. 독일 경제까지 휘청거리다 보니 유럽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높아
[매경닷컴 정인혜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