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년 대공황으로 시간을 돌려보자. 당시 미국은 경기 침체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대공황 시발점이 된 공급 과잉 국가가 미국이었기 때문이다. 1929년부터 1937년까지 미국 경기는 점차 개선됐지만 정상화 시도 이후 미국 실업률은 1934년 침체기로 되돌아가 버렸다. 1929년에 시작된 불황에서 벗어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1939년에 들어서였다.
미국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훈을 얻었다. 경기가 완벽하게 회복됐다고 자신할 때까지 양적 완화 정책을 지속하고, 테이퍼링(Tapering)과 정상화에 대한 발언들을 통해 시장 반응을 살피는 것도 이런 이유다.
특히 과거 미국 경기 회복에 의존한 세계 무역 회복이 미국 경기에 다시 독으로 작용했음을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나섰고, 그러한 정책은 무리한 투자를 통한 소비 증진보다는 통화 공급을 통한 안정적인 내재화로 나타나게 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원하는 정상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것이다. 굳이 하지 않았던 정책적 타이밍에 대한 설문 결과 발표나 기준금리 인상 범위를 제시한다는 것은 ‘우리가 이런 식으로 정책을 운용하려 한다’는 선제적인 적응화다. 특히 이런 발표 효과에는 과연 시장이 정책 방향에 대해 어떤 식으로 반응할 것인지에 대한 실험도 포함돼 있다.
새롭게 발표한 고용시장지수(LMCI)도 의미가 있다. 실업률 하락으로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염려에 ‘고용시장 회복은 그렇게 빠르지 않다’는 의미를 부여해줬다. 하지만 단순 하락이 아닌 반등이 나타났고, 과거 2004~2008년에도 고용지수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는 것은 앞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언제든지 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상과 달리 물가 역시 안정적인 상황을 이어가면서 굳이 미국이 정상화를 서둘러서 시행할 이유는 없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시점은 경기의 굳건한 체력에 대
[윤지호 이트레이드증권 리서치센터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