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경기 회복세가 미약하지만 금리 인하 시 가계부채 규모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미국의 금리정상화 움직임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들어 금리동결을 예상하는 의견이 많다.
다만 지난해 12월 10일 아이슬란드부터 지난 12일 스웨덴까지 전세계적으로 금리를 내린 국가가 18개나 되는 만큼 한국이 이에 동참할 필요성이 있는 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정준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완화 움직임과 국내 디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한은의 적극적인 대응을 예상하며 금통위 금리인하를 전망했다.
그는 "미국 경제 개선에 따른 출구전략 본격화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책 강화가 금통위의 부담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지난 1월 한은 경제전망의 하향 조정으로 올해 상반기 적정 기준금리 수준이 0%대로 크게 낮아진 점과 최근 저물가 심화로 실질금리 하락이 제한되고 있다는 점이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강화시켰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지난해 1월 경제전망을 통해 GDP(국내총생산) 상승률을 3.9%에서 3.4%로 낮추고 CPI(소비자물가지수)는 2.4%에서 1.9%로 조정했다.
반면 이재승 KB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른 국가들이 인하를 주장하며 내세운 환율 요인이 한국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그는 "스위스, 덴마크, 스웨덴 등 비유로존 국가의 인하는 유로화 약세에 따른 상대적 환율강세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나라와는 상황이 다름을 강조했다.
또 러시아, 인도, 터키 등은 기존에 금리를 대폭 인상한 만큼, 이번 금리인하는 저유가 영향에 의한 소폭 조정에 지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해 두
한은은 지난달 15일 금통위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3개월째 기준금리를 연 2.0%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한 바 있다.
[매경닷컴 윤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