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의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을수록 사외이사 재직기간이 과도하게 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외이사는 기업 외부의 비상근 이사로 해당 기업의 이사회에 참여해 경영 건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대주주의 독단적인 경영활동을 차단하는 임무를 맡는다. 재직기간이 길어지면 경영진을 견제하는 본래 역할을 다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24일 대신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주요 상장사 400개사의 주주총회 주요 의안을 분석한 결과, 최대주주 지분이 많은 곳일수록 사외이사의 재직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경제연구소가 사외이사 반대 권고의견을 낸 46건 가운데 재기기간이 10년 이상인 사외이사는 47.8%(22건) 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 상당수는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가령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의 사외이사는 18년간 재직했으며 최대주주 지분율은 74.2%였다. 한라비스테온공조도 사외이사들의 재직기간이 13∼15년이고, 최대주주 지분율은 70.0%였다.
이밖에 세아베스틸(16년·65.9%), 일신방직(13년·51.0%), E1(16년·45.3%) 등도 사외이사 재직기간이 길고 최대주주 지분율도 높은 편이었다.
대신경제연구소는 “장기간 재직하는 사외이사가 현 경영진을 적절히 견제해야 하는 본연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지 면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공시를 통해 공개되는 이사와 감사 후보에 대한 정보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대신경제연구소는 “주주총회 소집결의 공시와 소집공고 공시에는 이사·감사 후보들의 단순 약력만 서술하고 있어 후보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며 “자세한 이력은 물론 사외이사 모범규준에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지 여부도 공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매경닷컴 김잔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