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4월 13일(16:49)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있는 나라는 일본이지만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나라는 한국이다. 한국은 10년 후 노인 인구가 20% 이상의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다"
사토시 노지리 피델리티일본 은퇴연구소장은 13일 금융투자협회와 펀드온라인코리아가 주최한 '일본의 창으로 본 노후준비와 자녀리스크' 콘서트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일찍 고령화 사회를 경험한 일본의 사례를 들어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철저한 노후 준비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사토시 소장은 먼저 국민연금과 기업형 DB, 은행·예금만으로는 안정된 노후 생활을 보장받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한민국 은퇴자 8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70%가 국민연금만으로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대답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이라며 "고령화 사회로 수급자가 늘면 현재의 급여 수준을 유지하기 어렵고 현재 지속되고 있는 저성장, 저금리 기조는 기업형 DB 연금에 대한 확신도 가질 수 없게 한다"고 말했다.
예금성 현금 보유 역시 자산을 늘리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이후 부동산 자산 비중(60.0%→19.3%)이 크게 줄고 현금 및 은행예금 비중(19.3%→37.5%)이 증가하고 있지만 자산 축적이 전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피델리티 투자자 교육 연구소가 일본 20~50대 노동자 3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 사람의 인생이 95세에 마무리 된다고 가정했을 때 65세부터 30년간 필요한 노후 자금은 평균 3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1억원 이상을 모았다고 대답한 설문자도 연령과 성별을 통틀어 15.7%에 불과했다.
사토시 소장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산을 얼마나 모으느냐' 보다 '모인 자산을 어떻게 관리 하느냐'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개인의 자금관리 단계를 시기에 따라 3단계(60세 이전, 60~75세, 75~95세)로 분류하고 가장 중요한 시기를 은퇴 직후인 60세~75세 기간으로 꼽았다. 노동을 통한 수입이 있을 때 꾸준히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자산 인출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사토시 소장은 "2단계(60세) 이후 은퇴 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고정적인 액수를 인출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 경우 '수익률 배열' 리스크에 노출된다"며 "고정 액수를 빼낼 경우 시장 변동에 따라 자산 가치가 큰 영향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투자와 인출을 병행하는 이 시기에는는 정액 보다는 정률 인출 방식을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두번째 강사로 나선 강창희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대표는 자녀리스크에 주목했다.
그는 "우리나라 부모들이 자녀의 결혼비용을 지금처럼 부담할 경우 648만 가구 중 271만 가구(42%)가 은퇴빈곤층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며 "반면 국내 노후 주요 수입원은 1980년 자녀의 도움이 72.4%에서 2010년 30.1%로 급감해 자녀에게 너무 관대한 사회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강 대표는 노후관리법이 저축에서 투자로 넘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중 금리의 변화 추이를 고려할 때 아끼고 모으는 것 만으로는 노후를 보장받을 수 없어서다.
그는 투자에 리스크가 따른다는 것을 감안해 생계용(저축), 자산형성(투자), 트레이딩(오락)의 주머니 3개를 만들어 금융자산을 운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