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가운데 하나로, 대중 골프장 확대를 제시했습니다.
농지를 활용해 이용료가 싼 골프장을 공급하겠다는 것인데,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호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해외골프로 빠져나간 돈은 1조2천억 원.
비행기값을 감안해도 중국이나 태국에서 골프를 치는 것이 비용면에서 20% 이상 싸기 때문에 해외골프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부가 발표한 2단계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방안은 골프장 공급을 늘려 해외로 나가는 돈을 최대한 막자는 게 주요내용입니다.
인터뷰 : 조원동 / 재정경제부 차관보
- "경작환경이 열악한 농지에 대해서 농민이 직접 출자를 해서 만드는 골프장에 대해서 부담금을 완화해주고..."
농민이 제공하는 땅에 건설업자가 골프장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저렴한 골프장을 공급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부의 이같은 방안은 출발점부터 맥을 잘못 짚었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국내 골프장 이용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골프장 수가 아니라 골프장 입장료의 40%에 가까운 고율의 세금이 한몫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이종관 / 골프경영자협회 홍보팀장
- "공급을 늘리는 것이 골프 대중화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이란 점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정부가 골프를 사치성 스포츠로 인식하는 게 문제입니다. 한시적으로 도입했던 각종 세금이 계속 유지돼 골프비가 높아졌는데 그 부분을 풀어주지 않으면 소용 없습니다."
아마추어 골퍼 5백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62%의 응답자는 골프 대중화의 걸림돌로 지나치게 비싼 골프장 입장료를 꼽았습니다
결국 이번 정부의 대책은 해외로 뺐기는 골프인구를 국내로 돌리기 위해 전국의 땅만 파헤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251개에 이르는 전국의 골프장 면적은 모두 약 2억5천만평방미터.
서울 여의도 면적의 30배를 웃돌고 있습니다.
mbn뉴스 윤호진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