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금융투자상품 판매·운영 관행 쇄신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실효성이 떨어지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반응이다.
지난달 30일 금감원은 일부 펀드매니저에게 분석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거나 매수 의견 위주의 증권사 보고서로 인해 투자자 불신이 커지고 있다며 금융투자협회와 리서치센터장 간 정기 협의체를 신설해 이달부터 공정성 제고를 위한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상장사협의회 코스닥협회 등 유관기관과의 업무 협의를 통해 매도리포트를 발표한 애널리스트들에게 불이익이 없도록 시장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증권업계에서는 한 현대백화점 임원이 자사에 부정적인 리포트를 낸 애널리스트에게 압력을 행사한 일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
모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결국 기업의 부당한 압력을 막아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인데 이번에 발표된 금융당국 정책으로는 잘못된 관행이 전혀 사라질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의도적으로 매도리포트를 강요하면 대그룹 계열사 같은 힘 있는 기업보다는 중견·코스닥 기업 같은 힘없는 상장사들에만 매도리포트가 집중돼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채권 거래 투명성 강화를 위해 채권매니저들이 사설 메신저 등을 통해 거래할 때 거래 기록을 남기도록 실태 조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또 다양한 채권매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소액 거래가 활성화되도록 최소 거래 단위(현행 100억원) 인하를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도 거래 기록을 남기고 있으며 메신저 이외 장외 거래도 얼마든지 가능한 상황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감독·제재 방안이 필요하며 인위적으로 감독당국이 거래 단위를 낮추는 것도 시장 자율성을 해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이 밖에 금감원은 임직원들의 과도한 자기매매 통제를 강화하고 영업직원 인센티브에 고객 이익도 반영되도록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또 주가연계증권(ELS)과 구조화 상품 등 고위험 상품에 대해서는
[박준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