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설정된 11개 금펀드(상장지수펀드 포함)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28.14%다. 농산물·원자재·천연자원 등 유형별 펀드 중 가장 높은 성과다. 지난 2일까지 국제 금값이 6거래일 연속 상승(4.5%)하는 등 연초 기준 온스당 1060.30달러(뉴욕상품거래소 기준)에 머물던 국제 금값이 1290달러 선까지 20% 넘게 급등한 영향 때문이다.
특히 금 관련 광물기업들은 기대심리 프리미엄이 더해져 주가가 폭등해 관련 상품 수익률을 끌어올리고 있다. '글렌코어' '엘도라도 골드' 등 글로벌 광산업체들에 자산의 95% 이상을 투자하는 '블랙록월드골드'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53.75%로 해외주식형 펀드 전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신한BNPP골드'와 'IBK골드마이닝' 역시 같은 기간 50%에 육박하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KB스타골드특별자산' '이스트스프링골드리치특별자산' 등 국내 채권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 특별자산 펀드들도 올해 들어서만 10% 중반대 수익률을 올렸다. 금광기업인 뉴몬트마이닝 주식은 올해 들어서만 90% 상승했고, 금 연계 상장지수펀드(ETF) SPDR 골드 트러스트는 S&P500지수가 제자리걸음한 지난달 5% 넘게 올랐다. 전문가들은 올 들어 시작된 금값 상승세가 단기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저금리 기조에 따른 통화 불안정과 미국의 달러 약세화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실제로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해 7월 이후 매월 금 매입을 지속하면서 3월 말 기준 세계 6위(1788t)까지 올랐으며 현물거래보다 접근성이 용이한 금 ETF는 각국 헤지펀드 등 기관 수요가 몰리면서 최근 5년 만에 최대 자금이 몰리면서 금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강유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마이너스 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저장가치 수단으로 금의 가치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최근 급등에 따른 단기 조정과 하반기 미국 금리 인상(달러화 강세)이 변수가 될 수 있지만 추세적으로 강세장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1970년 이후 금 시장은 다섯 번의 강세와 약세장으로 구분되는데 평균 40~50개월 지속됐다. 2011년 9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는 52개월간의 약세장이었다.
강 연구원은 "역사적으로 2분기 연속 금값이 강세를 보이면 상승 흐름이 이어지는데 5~6월에도 금값의 완만한 흐름이 이어진다면 강세장 진입 신호로 볼 수 있다"고 전했다.
해외에서도 강세장 지속에 무게를 싣고 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올해 말 온스당 1350달러, 내년 말까지 1400달러를 예상했으며 RBC웰스매니지먼트는 금값이 1300달러를 넘으면 자산 배분 측면에서 안전자산으로서 인기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금값의 가장 큰
[이용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