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최근 재건축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잠원동 일대 모습 [매경DB] |
5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지난 1994년~1995년과 1997년과 1998년 일산을 비롯해 분당, 평촌, 중동 등지에서 신도시개발이 한창이던 당시 입주물량은 각각 82~83만가구에 달했다.
하지만 부동산전문가들은 주택보급률이 70~80% 수준이던 20년 전과 현재는 시장사황이 다르다고 입을 모은다. 2년 새 70만 가구가 시장에 쏟아지는 만큼 전세난 진정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나 미분양 중에서도 악성으로 손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증가는 불가피해 보인다는 것이 중론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국과 수도권의 평균 주택보급률은 각각 2002년(101%)과 2010년(104%)에 100%를 넘어섰다. 2014년 현재 전국 기준 주택보급률은 118%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2017년~2018년 2년 동안 약 70만 가구가 입주하는 만큼 전·월세시장의 불안 해소 보다는 공급잉에 따른 부작용이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다만 서울 등 일부 인기지역은 재건축이나 재개발로 인한 멸실주택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소황불량'의 정도는 국지적으로 다르게 나타날 전망이다.
◆ 2002~2008년 물어내기식 분양 급증··· ‘준공 후 미분양 급증’ 초래
과거에도 입주물량 급증에 따른 곤혹을 치른 바 있다. 2002~2008년 당시 분양가상한제 실시와 취·득록세 한시적 인하 시기 등 맞물리며 밀어내기 분양이 급증했으며, 2~3년 뒤 고스란히 연 평균 약 33만 가구의 입주물량으로 되돌아 왔다.
↑ 준공(입주) 후 미분양주택 추이 (단위: 가구) |
2008년 하반기에는 1만가구 이상 입주를 진행했던 서울 송파구 잠실동 일대에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시세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금액으로 전세입자를 들이는 '역 전세난'이 발생하기도 했다.
불과 3~4년 전에도 ‘준공(입주) 후 미분양’을 해소하지 못한 건설사가 전세 조건에 아파트를 파는 새로운 방식(에프터리빙제, 프리리빙제, 매매보장제 등)을 시장에 도입해 전세 계약자 명의의 담보대출, 분양 거부시 위약금, 보증금 미반환 등 사회문제를 양산했다.
윤지해 부동산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