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 발행이 급격히 늘고 있지만 해외에선 코코본드의 위험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 도이체방크의 코코본드 이자지급중단 우려로 주가 폭락이 촉발되자 글로벌 금융당국들이 자본인정요건 변경 등을 검토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5일 글로벌 금융시장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한국계 은행의 코코본드는 2014년 우리은행이 처음 발행한 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엔 특히 국내 기업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부실채권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자본비율을 선제적으로 높일 목적으로 은행들의 코코본드 발행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 은행들은 2014년엔 28억8000만 달러 규모의 코코본드를 발행했고 2015년에는 발행 규모가 39억 달러로 늘었다.
올해 들어선 지난 3월 신한은행이 300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를 발행한 뒤 전북은행, 광주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등이 연달아 발행에 나서면서 5월까지 발행규모가 12억달러에 달했다.
다음 달에는 조선·해운 등의 부실채권으로 실적이 악화된 농협은행이 200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를 발행하기로 하는 등 당분간 구조조정으로 부실채권이 늘어난 국내 은행들의 원화 코코본드(Tier2) 발행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도 구조조정 재원마련을 위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자본을 확충하는 방안으로 코코본드를 발행해 자본확충펀드에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런 은행들의 코코본드 발행 확산은 코코본드가 유사시 자기자본비율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코코본드(Contingent Convertible Bond)는 은행 등 발행회사의 자본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원리금이 자동으로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되는 채권이다.
금리는 높지만 대신 원금이 상각될 수 있어 손실 가능성이 일반 채권보다 크다.
이 때문에 해외에선 은행의 자본확충이라는 코코본드의 애초 취지와 달리 역으로 코코본드가 은행의 신인도 하락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최근 손실 누적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도이체방크가 발행했던 코코본드에 대해 이자를 지급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주가가 폭락하는 등 금융시장에 충격을 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013년 바젤Ⅲ 자본규제 도입 후 글로벌 은행권의 코코본드
올 들어서는 도이체방크 사태 여파로 지난 3월 중순까지 유럽계 은행의 신규 발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은행의 발행 규모도 2014년 908억달러에서 작년엔 절반 수준인 488억달러로 급감했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