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는 젊은 인구구조, 거대 내수시장,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정치적 리더십 부재로 오랜 기간 경제발전이 지지부진했다. 하지만 2014년 말 개혁 성향의 조코 위도도 정권이 들어서면서 구조개혁과 경기부양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인도네시아의 잠재성장률은 향후 5년간 6%로 예상되는데 구조개혁이 성공할 경우 투자와 생산성 증대를 통해 7.3%까지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인도네시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16%에 불과한 나라다. 인도 필리핀과 함께 아시아에서 최하위권이다. 한국의 가계부채비율이 91%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것을 감안하면 인도네시아의 낮은 부채비율은 엄청난 경쟁력이다. 그만큼 민간 소비가 늘어나 경제를 지탱해 줄 여력이 크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의 민간투자는 원자재 가격·환율(인도네시아 루피아)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원자재 가격이 1% 하락하면 민간투자는 0.3% 줄고, 인도네시아 루피아 가치가 1% 절하되면 민간투자는 0.5% 위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최근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반등하고 루피아 환율이 안정되면서 민간투자를 높이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재정개혁도 빼놓을 수 없다. 예를 들면 2014년 GDP의 3.2%에 달했던 에너지 보조금이 2015년에는 1.0%로 줄었고 올해는 0.8%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재정건전화 노력에 힘입어 정부 부채비율도 크게 낮아지고 있다. 2001년 76%였던 GDP 대비 중앙정부 채무 비율은 최근 26%까지 하락한 상태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가 보증하는 공기업 부채도 GDP 대비 0.8%에 불과하다고 한다.
종합해 보면 인도네시아는 사회간접자본과 복지 등에 국가 재정을 투입할 여력이 충분히 크다는 얘기다.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에 따르면 정부 부분 투자증가율을 지난해 42%에서 올해 53%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 노력도 인상적이다. 연초 인도네시아 정부는 35개 분야에서 외국인투자 참여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부동산펀드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세율을 5%에서 0.5%로 대폭 인하했다. 그동안 문제가 됐던 규제 154개 중 134개에 대한 규제 완화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경제자유지역에 투자하는 외국법인에 대해 세금 감면 혜택을 15년간 제공한다는 파격적인 정책도 내놨다.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중앙은행이 올 들어 기준금리를 세 차례 인하하면서 현재 금리를 6.75%까지 낮춰놓은 상태다. 앞으로 물가상승률이 더욱 둔화될것으로 보여 0.25%포인트 추가 인하를 점치고 있다.
초저금리 시대에 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고자 하는 한국 투자자들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려 볼 만하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그 가능성만큼이나 매력적인 투자처임이 확실하다.
[권영선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