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내년부터 시중은행 경쟁 구도가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등 3강 구도에서 우리은행까지 가세한 4강 구도로 재편될 전망이다. 특히 한국투자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회사가 향후 우리은행의 최대주주로 올라설 가능성까지 유력해지면서 지배주주가 없는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앞으로 바짝 긴장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신한은행이 수익성과 건전성 면에서 3대 시중은행 가운데 선두를 달린 이유는 재일교포 2세들을 중심으로 한 상대적 지배력 집중에 있었다"며 "예비입찰 흥행으로 연내 정부 슬하에서 벗어나게 될 우리은행은 앞으로 지배주주 자체가 없는 국민은행, 하나은행은 물론이고 신한은행마저 뛰어넘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시중은행들이 기존 은행의 저수익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 점포·인력 구조조정과 가계·기업 여신 건전성 관리, 투자금융(IB) 시너지 효과 등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서 과감한 의사결정과 책임경영을 할 수 있는 지배구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장 비상이 걸린 곳은 총자산 규모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국민은행(6월 말 기준 332조6080억원)과 하나은행(327조5784억원)이다. 이들 두 은행은 신한은행(317조9817억원)보다 덩치는 크지만 수익성 지표인 직원 1인당 충당금 적립 전 이익, 총자산순이익률(ROA), 자기자본순이익률(ROE) 면에서 모두 신한은행을 밑돈다.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부실채권비율)을 봐도 하나은행(1.17%)과 국민은행(0.95%)이 신한은행(0.82%)보다 높다.
3대 시중은행이 '고객 나눠먹기'식 경쟁구도를 탈피하지 못한 상황에서 새 주인을 찾은 우리은행이라는 강력한 메기가 4대 은행 간 생존 경쟁에 뛰어들게 되면서 이 같은 긴장감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신한은행 역시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못하게 됐다.
앞으로 관전 포인트는 우리은행의 민영화 완성 시기와 강도다. 정부는 연내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30%를 먼저 팔고 나머지 18.09%를 내년 하반기 이후에 내놓을 예정이다. 하지만 이 시기는 다음 정부 중반부로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최근 조선과 해운 등 경기민감업종 리스크 여파로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기업여신 대열에서 이탈하고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의 상황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은행이라는 소방수 카드를 활용해야 한다는 정책적 수요 때문이다. 연말 기준 우리은행 과점주주들의 개별 보유 지분은 많아야 8%여서 여전히 우리은행의 최대주주는 예금보험공사(지분율 21.06%)다.
민영화 강도 역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분율 4~8%대 주주 4~8곳이 '도토리 키 재기'식 지분을 들고 과점주주단이 운영되는 기간이 길어지면 정부의 경영 간섭이 지속돼 민영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업영역 확대 니즈가 있는 한국투자금융이 예보 잔여지분 인수 등을 통해 우리은행 최대주주로
또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와 K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까지 은행권 진검 승부 경쟁에 뛰어들 채비를 마무리하면서 은행권에서 이제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데스 매치'가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석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