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가야 하는데 경부선이 아니라 호남선을 타버렸어요. 지금 광주송정에 다 와가는데 지금이라도 부산으로 가야 하는 것은 아닌지…."(대우조선해양 채권단 구조조정 실무진 A씨)
지난해 10월 22일 서별관회의는 신규자금 4조2000억원 지원을 골자로 하는 국책은행 중심의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방안을 결정했다. 혈세 투입 논란이 거셌지만 정부는 밀어붙였다.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110억달러 규모의 신규 수주를 따낼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주 부진은 수주 가뭄으로 이어졌고 소낭골 드릴십 인도 지연까지 터지면서 스텝이 꼬이기 시작했다. 수주 가뭄으로 대우조선해양의 유동성 위기가 지속되면서 추가적인 신규 자금을 집어넣어야 하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국책은행 중심으로 자금 지원을 결정하다 보니 6월 말 현재 대우조선해양 은행 여신 13조8000억원 중 25%에 달하는 3조4000억원의 여신을 보유한 국민은행과 농협은행 등 시중은행이 신규 자금 지원단에서 아예 빠져버린 상태다. 통상 부실기업에 대한 신규 자금 지원은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른 채권단 공동관리)을 통해 채권비율만큼 추가대출금을 분담하는 게 관례인데 이 같은 원칙이 깨진 것이다. 대우조선해양 회생을 위해서는 자율협약을 통해 시중은행을 포함한 채권단 전체의 신규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채권단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최경환 임종룡 안종범 홍기택 이덕훈 등 거물들의 결정이라 누구 하나 문제 제기를 못하고 있지만 당시 결정이 틀렸다면 지금이라도 바로잡는 게 맞다"며 "신규 자금 없이 경영 정상화를 도모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신규 자금 지원을 할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