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에 등록한 업체는 33곳(은행 부문)이다. 하지만 이 플랫폼을 활용해 실제 서비스를 출시한 사례는 전무하다. 등록은 했지만 사용 절차가 불편해 서비스 개발을 포기하는 업체도 속출하고 있다. 오픈플랫폼 출시 초기에 등록을 마쳤던 한 핀테크 업체는 "기존 은행들과 개별 협상을 통해 서비스를 개발할 때보다 나아진 점이 거의 없는 것 같다"며 "등록은 했지만 오픈플랫폼 이용을 사실상 포기하고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핀테크 오픈플랫폼이란 핀테크 기업이 금융사 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금융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 공동 플랫폼이다. 핀테크 업계는 제공되는 데이터의 양과 종류가 제한적이고, 이용 수수료가 비싼 데다 인증 방식이 복잡하다는 점 등을 오픈플랫폼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오픈플랫폼이 제공하는 데이터 종류는 잔액 조회, 거래 내역 조회 등 5가지에 불가하다. 이는 상품가입 정보, 거래 금액 등 일반적으로 20종이 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해외 오픈플랫폼에 크게 못 미친다는 지적이다. 이용 수수료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건당 500원 안팎의 비싼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증 방식 역시 까다롭다. 핀테크 업계에선 이처럼 업계 수요와 동떨어지는 플랫폼이 탄생한 이유로 플랫폼 개발을 기존 금융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금융결제원이 주도한 점을 꼽고 있다.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금융결제원은 시중은행 등 기존 금융회사들의 회비로 운영되는 기관"이라며 "핀테크 발전보다는 기존 금융권 이권을 최대한 지킨다는 시각으로 플랫폼에 접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말 서비스를 종료하는 뱅크월렛카카오도 금융결제원이 만든 핀테크 플랫폼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다. 2014년 금융결제원과 카카오가 공동 개발한 뱅크월렛카카오는 지정된 계좌로 미리 충전한 돈을 카카오톡을 통해 보내는 서비스로, 출시 초기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충전의 번거로움, 이용 한도 제한 등으로 인
[정지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