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들이 새해 최고 경영전략을 ‘선제적 리스크 관리’로 설정했다.
내년 경기침체가 올해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익성을 확대하는 공격적인 경영 보다는 부실기업이나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수성(守城) 전략을 들고 나온 셈이다. 이에 따라 가계와 기업 모두 은행권 대출 문턱이 올해 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내년부터 총 여신 500억원 이상을 보유한 기업집단을 선정해 매년 신용평가를 실시하고 관리한도를 설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KB국민은행은 기업여신심사부 내에 중견그룹 관리를 위한 별도 팀을 신설하고 가계여신도 빅데이타를 활용해 리스크관리 기준을 상향조정할 방침이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최근 KB금융지주의 내부 자본적정성 관리체계, 리스크 측정 모형에 대한 적합성 검증, 그룹 차원의 위기관리체계 등 3건에 대해 행정지도를 받았다.
KEB하나은행은 내년 저신용·저수익 차주를 지속적으로 교체하며 여신 포트폴리오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와 함께 시장금리 상승에 대비해 변동·고정금리대출 비중 관리와 1년 초과 장기예금 조달 강화를 통해 금리리스크 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다. 우리은행도 부실자산으로 인한 비용인 대손충당금을 최소화하고 부실여신 한도를 줄여 자산 건전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자산관리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 증대와 철저한 뒷문잠그기를 통한 건전성 제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업계 1위인 신한은행도 새해 예정된 리스크 관련 감독규제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국내 시중은행들은 오는 2019년까지 유동성 위기를 대비해 현금화할 수 있는 외화자산을 일정 비율 이상 쌓아야 한다. 지난달 금융위원회는 바젤III 권고 사항인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를 내년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 LCR규제와 함께 2018년 국제회계기준(IFRS9) 도입에 따른 감독규제
[박윤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