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NICE 평가정보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은행권의 다중채무는 2015년 184조7000억원에서 202조4000억원으로 9.6% 늘어난 데 비해 같은 기간 2금융권 다중채무는 197조6000억원에서 229조5000억원으로 16.2% 늘었다. 증가율이 은행권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셈이다. 이는 같은 기간 다중채무를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세(11%)보다도 더 높은 수치다. 지난해 말 이후 올해 1분기까지의 다중채무 증가세도 2금융권(2.7%)이 은행권(0.9%)보다 세 배 가까이 더 비중이 컸다. 1분기 현재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385만5572명으로 이들이 갚아야 할 빚은 439조828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다중채무자는 지난해 1년 동안 약 18만명이 늘어나며 최근 5년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다중채무는 금리 인상기에 금융회사가 연쇄적으로 부실해지는 '부실 도미노'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시장 '뇌관'으로 간주된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저소득층·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 부담이 상대적으로 빨리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부실 위험 가구의 금융부채는 186조7000억원(지난해 3월 기준)에서 206조6000억원으로 20조원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다중채무자는 금리 인상으로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금융회사 중 1곳의 상환 부담만 늘어 연체가 되더라도 연체가 다른 금융사로 줄줄이 이어져 부실이 전이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은 '2금융권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시행하며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라 저축은행은 금리 20% 이상 대출을 '고위험대출'로 분류해 기존 충당금의 50%를 추가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농·수협 등 상호금융권은 2억원 이상 일시상환방식 대출과 5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를 고위험대출로 분류한다. 이에 대한 추가 충당금 비율을 30%로 기존(20%)보다 10%포인트 더
■ <용어 설명>
▷ 다중채무 :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은 차주의 채무. '빚으로 빚을 돌려 막는' 다중채무자는 금리 인상기에 연체율 상승 등 부실 위험이 가장 큰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간주된다.
[김종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