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61만㎡ 면적 대규모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이 레미콘 공장 용지 때문에 '반쪽짜리'라고 평가받았던 서울숲이 온전한 모습을 갖추게 됐다.
서울시와 성동구는 10일 지역 최대 숙원사업이었던 성수동1가 683 일대에 있는 삼표레미콘 공장이 2022년 완전 이전·철거된다고 밝혔다. 1977년 운영한 이후 40여 년 만이다. 총 2만7828㎡ 넓이의 이 용지에는 서울숲과 연결되는 공원이 생길 예정이다. 단순한 공원이 아니라 미국 시카고에 있는 '밀레니엄 파크'처럼 공원 내에 문화시설이 들어간 융복합 시설로 만들겠다는 것이 서울시와 성동구의 복안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이 자리에 공원을 조성해 4000여 석 규모 콘서트홀 등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와 같은 문화관광시설도 함께 짓는 안을 서울시에 제안한 바 있다"고 말했다.
성동구 입장에서 삼표레미콘 용지는 '아픈 손가락'이다. 수차례 개발 계획이 나왔으나 번번이 무산됐기 때문이다. 1998년 서울 신청사 이전지로 검토됐었고, 2004년 서울숲에 포함돼 공원 조성을 추진했으나 잘 되지 않았다. 2010년 현재 강남구 삼성동 한전 용지에 조성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 원사업지로 검토됐으나 이듬해 취임한 박원순 서울시장이 '초고층 건축 관리기준'을 내세워 도심과 부도심이 아닌 공장 터에 고층빌딩을 올리는 것을 막으면서 이 프로젝트는 강남구로 갔다.
지역 균형발전을 내세웠던 박 시장이 전임 오세훈 시장의 색깔을 지우려다 결과적으로는 '강남 몰아주기'가 됐다는 비판이 많았던 대목이다. 이에 대한 부채의식 탓인지 박 시장은 2015년 '일자리 대장정'에서 레미콘 공장 이전 문제를 본인 임기 내에 결론짓겠다고 약속했고, 이번에 나온 계획안이 그 결과물이다.
그러나 10일 계획안 발표와 함께 진행되기로 했던 서울시·성동구와 땅 주인인 현대제철과 현재 사업자인 삼표 등 4자 협약식이 행사 1시간 전 삼표 측 반발로 잠정 연기됐을 정도로 이 땅의 이해관계는 복잡하다. 가장 큰 걸림돌은 땅 주인인 현대제철과 임차인인 삼표 간 보상문제다. 삼표는 대체 용지를 찾아야 하는데 레미콘 산업 특성상 수도권 교통이 편리한 곳에 있어야 해 쉽지 않다.
현대제철 측은 "삼표에 공장 이전과 관련해 보상해야 할 돈에 대해 의견 차가 해소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표는 시종일관 보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협약식에 참가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아는데, 서울시가 무리하게 일정을 추진한 것 같다"고 전했다.
협약식은 연기됐지만 2022년 공원 조성 계획은 그대로 진행된다는 것이 서울시 입장이다. 현대제철과 삼표가 공장 용지 처분과 이전, 철거 등 세부 계획을 제출하면 서울시와 성동구가 기업과 함께 연말까지 공장 이전과 철거, 토지 감정평가, 이행담보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한 추가 협약을 체결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해당 용지를 공원화하기 위해 현재 땅 주인인 현대제철에 현금을 지불해 매입하는 방식을 택할지, 아니면 서울시가 보유한 다른 토지로 교환할지를 추후 논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인근 승마장과 유수지도 탁월한 입지에 비해 제대로 된 쓰임새를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해 삼표레미콘 용지 공원화 계획을 세울 때 이곳 개발 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이번 레미콘 공장 이전 계획이 사실상 확정돼 '한강변 숲세권'이라는 장점이 부각되며 신흥 부촌으로 떠
[박인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