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대출금리 6%대까지 '껑충'
29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주요 은행 7곳의 지난 9월 평균 일반신용대출 금리(신용등급 1~2등급 기준)는 전월 대비 최고 0.08%포인트 올랐다.
지난 8월 평균 3.28%던 KEB하나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9월 평균 3.36%로 한 달 새 0.08%포인트 상승했다. 케이뱅크에 이어 인터넷은행 바람을 몰고 온 카카오뱅크도 같은 기간 금리가 3.16%에서 3.21%로 0.05%포인트 올랐다. NH농협은행 대출 금리도 3.09%에서 3.13%로 0.04%포인트 상승했고 우리은행(0.03%포인트), IBK기업·SC제일은행(0.01%포인트)도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이후 1.25%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지만 실제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는 이유는 최근 가시화한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선(先)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출금리는 원가 격인 조달금리와 대출마진 격인 가산금리로 구성되는데 조달금리는 신용대출의 경우 6개월 기준 코픽스(COFIX) 금리나 3개월·6개월·12개월 단위 금융채 금리가 주로 사용된다. 향후 금리 인상을 반영하는 금융채의 경우 당장의 한국은행 기준금리보다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반영한다. 오는 12월께 미국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가능성이 제기된 데 이어 한국은행이 이를 앞두고 11월께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인상할 가능성이 가시화하면서 조달금리가 상승세를 보인 게 신용대출 금리 인상의 일차적인 원인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27일 1.558%인 은행채(AAA등급) 1년물 금리는 이달 26일 현재 2.022%로 2%를 돌파했다. 연말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하고 여기에 대비한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이 선제적으로 이뤄지면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하는 만큼 은행들이 이에 앞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은행채를 대거 발행한 결과다.
또한 금융당국이 1400조원 수준인 가계부채 관리 강화 차원에서 은행들에 대출총량 관리를 주문하면서 가산금리 인상이 반복되고 있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씨티은행, 케이뱅크 등 또 다른 은행연합회 공시대상 은행 3곳은 지난 9월 평균 신용대출 금리가 8월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이는 8월까지 이 같은 가산금리 관리를 미리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의 9월 평균 적용금리는 4.01%, 씨티은행과 케이뱅크 역시 각각 4.41%, 4.78%로 은행 평균을 현저히 웃돈다. 고신용(1~2등급) 대출자의 금리가 이 정도고 중저신용자까지 합치면 실제 대출금리는 최고 6.46%에 달한다.
비교적 낮은 신용등급 서민들을 겨냥한 중금리대출도 신한은행의 사잇돌대출이 지난 7월 6.84%에서 이달 7.03%으로 0.19%포인트, 농협은행의 사잇돌중금리는 7.05%에서 7.26%으로 0.21%포인트 뛰는 등 일부 은행을 중심으로 상승세다.
변동금리방식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상승하는 추세다. 신규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원가가 되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지난달 15일 이후 1.47%에서 이달 16일 1.52%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정부가 지난 10·24 부동산 대책에서 금리인상을 감안해 은행들의 금리 인상폭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한동안 대출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통상 5년 이상 같은 금리가 유지되는 고정금리방식 대출 비중이 높은 가계용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신용대출, 개인사업자가 많이 빌리는 변동금리방식 단기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금리인상에 따른 직접적인 이자 부담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변동금리방식 대출을 고정금리방식 대출로, 이자만 내는 거치식 대출을 원금분할상환방식 대출로 전환하는 게 이자 부담 상승폭을 최소화하거나 이자 부담 자체를 줄이는 길이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변동금리방식 대출을 고정금리방식(5년 고정·6년 이후 변동방식 포함)으로 전환하거나 거치식 대출을 원금분할상환방식 대출로 전환할 경우 중도상환수수료(최고 연 1.4%)가 면제된다.
일반 신용대출의 경우 통상 1년이 만기인데 만기 도래 시점에 변동금리방식 대출을 고정금리방식 대출로 전환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상환 방식도 이자만 내는 거치식(만기일시상환식)에서 원금분할상환방식으로 변경하면 원금을 나눠 갚으면서 총이자액을 줄일 수 있고 금리 상승에 따른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은행에 따라 최장 5년의 원금분할상환방식 신용대출을 선보이고 있고 5년 내내 고정금리가 유지되는 상품이 있다.
특히 가계부채 급증 주범으로 지목돼온 부동산 임대업자들은 10·24 가계부채 대책에 따라 내년 3월께부터 원금분할상환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부동산 임대업자의 원금분할상환을 의무화하고 소득심사를 강화하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연내 발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부동산 임대업자들은 40∼80%인 적정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초과하는 고부담 LTV 대출은 원금분할상환하게 된다.
변동금리 방식 주택담보대출자나 신용대출자에게 뜨거운 감자가 된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여부는 다음달 열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판가름 난다.
한국은행이 이달 금융위에서 강한 인상 신호를 보낸 데 이어 올 3분기 경제성장률이 기대보다 높게 나오자 다음달 금리 인상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국외 주요 투자은행(IB) 10개 중 7개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11월로 예상했을 정도다. 씨티와 JP모건, 바클레이스, 골드만삭스, 스탠다드차타드, 노무라, HSBC는 한국은행이 11월 30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채권시장도 11월 금
금통위 전날(연 1.94%) 이후 27일까지 상승 폭은 0.22%포인트다. 한 차례 금리 인상(0.25%포인트)분을 거의 다 반영한 것이다.
[정석우 기자 /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