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 쟁점 놓고 전면전
19일 하나금융지주 관계자는 "하필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한창인 다음달에 이 과정을 들여다보겠다는 것은 사실상 후보가 누군지를 다 파악하고, 원하는 사람을 찍어 내리는 '낙하산 인사'를 하겠다는 엄포나 다름없다"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다음달 금융사 최고경영자(CEO) 선임 절차를 검사하겠다고 공언했다. 하나금융지주는 내년 3월로 다가온 김정태 회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이달 말부터 다음달에 걸쳐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반면 당국은 상시감사제, 사외이사 선임제도 개선 등을 내걸고 이번에 금융사 CEO의 '셀프 연임'을 막겠다고 벼르고 있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미 제도상 상시 감시가 가능하고 은행당 2~3명 정도를 파견할 수 있다"며 상시감사제 도입을 공식화했다.
금융당국과 하나금융지주는 크게 네 가지 쟁점에서 충돌했다. △사외이사 구성 방식 △연임을 위한 잠재적 경쟁자를 배제했는지 △김정태 회장과 관련된 각종 비리 의혹이 사실인지 △금융감독기관이 외부 개입에 따라 금융지주를 의도적으로 흔드는지다.
우선 사외이사 구성과 관련해 금감원은 현행 사외이사 제도하에서는 '셀프 연임'이 될 수밖에 없는 만큼 어떤 식으로든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금융지주 회장이 사외이사추천위원회(사추위)에 포함돼 사외이사를 직간접으로 추천할 수 있는 만큼 이들 사외이사가 다시 회장을 후보로 추천하는 이른바 '셀프 연임'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2010~2013년 어윤대 당시 KB금융지주 회장은 이경재 당시 이사회 의장과 사사건건 대립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ING생명 인수건이다. 어 전 회장이 ING생명 인수를 시도했지만 이사회는 높은 가격과 불투명한 보험업 미래를 들어 무산시켰다. 이후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는 약 1조8000억원을 들여 이를 매수했고 현재 ING생명 상장 이후 MBK 지분가치는 2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 관계자는 "KB금융이 당시 이를 인수했다면 든든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가질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임을 위해 잠재적 경쟁자를 배제했는지를 두고서도 양측은 충돌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유력한 승계 경쟁 후보가 없는 것도 논란"이라고 지적했다. 최흥식 금감원장이 지난 5일 간부회의에서 "금융지주회사의 경영 승계 프로그램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고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하나금융지주 측은 "현직에 남아 있는 고위 임원 가운데 여전히 잠재적 경쟁자들이 있는 만큼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김정태 회장과 관련해 제기된 각종 비리 의혹에 대해서도 양측은 대립했다. 최 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김 회장과 관련된 의혹을) 살펴봐야 한다. 안 볼 수는 없다"며 조사할 태세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지주 측은 "이미 지난 10월부터 금감원이 수시 검사를 통해 관련 의혹을 모두 들여다봤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고 반박했다. 앞서 하나금융지주 계열사 노조 등이 주축이 된 하나금융지주 적폐청산 공동투쟁본부는 지난 18일 금감원에 김 회장과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비리 의혹 조사 요청서를 제출했다. 요청서에는 △아이카이스트 부실대출 의혹 △사외이사 및 김 회장 아들이 만든 기업과 하나금융지주 계열사 간 거래 △친분 있는 중국 기업에 특혜성 투자 등이 포함됐다.
금융감독기관이 외부 입김에 따라 금융지주 흔들기에 나섰다는 주장에 대해 금감원은 이미 예정된 검사라고 해명했다. 최 원장은 "검사 일정이 다 있었던 것이고, 그것에 따라서 한 것이다. 특정인을 노려서 한 건 아니다"고 강조했다. 반면 하나금융지주를 비롯한
[김종훈 기자 / 노승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