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현재와 같은 연 1.50%로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하반기 금리인상 신호가 나올지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8∼11일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93%가 동결을 예상했다. 물가와 경기 등 경제지표가 부진해 한은이 금리인상에 선뜻 나서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긴장감이 한국 경제 안팎으로 팽배하고 있어 금리인상을 부추키고 있다. 국제유가 역시 브렌트유가 한 때 80달러를 넘는 등 들썩이고 있다. 유가 급등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를 높이고 불확실성을 키우며 투자심리를 냉각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미 금리인상 흐름에 떠밀려 기준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 부담이 높아져 경제주체들이 고통이 커지게 된다. 그렇다고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지 않는 다면 외자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시장은 금통위 후 '소수의견' 여부에 집중하고 있다. 소수의견이 등장하며 7월 인상 불씨를 살려둘지, 만장일치 동결 등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시장 기대를 눌러둘지 관심이 크다.
박성우 흥국증권 연구원은 "국내 고용 부진, 작년 성장을 견인한 설비투자의 기저효과로 하반기 생산 부문을 중심으로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며 한은이 역시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한국은행 5월 금통위는 소수의견이 나오며 올해 7월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하반기 성장세둔화를 감안하더라도 올해 연간으로는 잠재 성장률 수준의 성장 경로가 예상되는 점, 하반기 소비자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저금리 장기화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점, 연준의 금리인상 가속화 우려로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 확대에 따른 금융안정 유지 필요성 등 때문에 한은이
한편 이달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다음 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금리를 올리면 금리 차는 0.50%포인트로 벌어진다. 한은이 7월과 8월도 건너뛰고 미 연준이 9월에 금리를 올리면 0.75%포인트로 확대된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