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엔 제2금융권과 은행권 사이에 비어 있는 대출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고신용 대출시장 포화로 최근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신상품을 늘리고 인터넷전문은행까지 금리 전쟁에 가세하며 경쟁이 더욱 뜨거워졌다.
포문을 연 쪽은 케이뱅크다. 지난 17일부터 가산금리를 내리고 중금리 대출 확대에 나섰다. 슬림K 신용대출 가산금리는 기존 3.45~7.25%에서 3.40~6.65%로, 일반가계신용대출 가산금리는 기존 2.40~5.68%에서 2.10~5.43%로 인하했다.
이에 발맞춰 카카오뱅크도 중금리 시장 공략에 나섰다. 지난 18일부터 소액마이너스통장 대출인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 금리를 낮췄다. 고신용자는 최저 0.25~0.35%포인트, 중·저신용자는 0.40%포인트 낮아졌다. 전·월세보증금 대출도 금리 인하 대상에 포함됐다. 신용등급별 최대 인하 폭은 0.15%포인트, 최저는 0.10%포인트다. 두 은행 모두 중신용 부문 금리를 낮췄지만 전략은 조금 다르다. 카카오뱅크 소액마이너스통장은 케이뱅크보다 금리는 낮지만 대출 가능 금액이 300만원으로 소액이다.
두 인터넷전문은행이 중금리 대출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선 건 출범 후 지난 1년간 경험으로 독자적인 리스크관리모델(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 구축이 어느 정도 완료됐다는 판단에서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부터 새로운 CSS를 대출 심사에 도입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자체 빅데이터를 적용해 고객을 더 잘 파악하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중금리 부문에서 차별점을 가지고 경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카카오톡 등 비정형 데이터를 CSS에 포함하면 높은 정확도로 부실 예측이 가능해질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상한다.
새롭게 충전된 실탄도 중금리 대출 확대에 한몫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5000억원 규모 추가 증자를 마무리했다. 지난해 9월 5000억원에 이어 이번 5000억원까지 7개월여 만에 자본금 1조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증자 완료로 카카오뱅크 납입 자본금은 1조3000억원으로 늘었다. 케이뱅크 역시 늦어도 다음주까지 1500억원 규모 증자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시중은행들은 잠자코 지켜보지만은 않겠다는 태도다. 맞불 작전으로 금리를 인하하거나 신상품을 출시하는 등 손님 모시기 경쟁에 나섰다.
카카오뱅크가 금리를 낮춘 날 신한은행도 청년·고령층 고객에 대한 사잇돌중금리대출 금리를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날부터 만 29세 이하 청년층 고객과 만 65세 이상 고령층 고객이 신한 사잇돌중금리대출을 이용하면 우대금리 0.2%포인트를 추가해 최저 연 6.22%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신한은행은 우대금리 대상자를 넓히며 두 인터넷전문은행과 차별점을 뒀다.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다문화 가정, 다자녀 가구, 한부모 가정 등을 '금융 배려 고객'으로 정하고 사잇돌중금리대출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다양한 서민계층 고객을 대상으로 금융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우대금리 대상을 청년·고령층 고객으로까지 확대했다.
NH농협은행은 두 인터넷전문은행에 한발 앞서 지난달 자체 중금리 상품 'NH e직장인중금리대출'을 출시했다. 사잇돌·새희망홀씨 등 정부가 보증하는 정책금융상품이 아니라 주요 시중은행권에서 자체 개발해 내놓은 '무보증 중금리 신용대출'은 이 상품이 거의 유일하다. 1년 이상 법인기업체 재직자라면 인터넷·모바일로 최대 2000만원까지 신청할 수 있다.
우리은행도 사잇돌대출 모태 격으로 일찌감치 출시했던 '위비모바일대출
[오찬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