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성북·강동구에 공급된 대단지의 입주가 본격화하자 일대 전셋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강남권 최대 규모인 '송파헬리오시티'(9510세대)로 이미 전셋값 급락을 경험한 송파를 필두로 '래미안길음 센터피스'(2352세대), '고덕 그라시움'(4932세대)도 각각 성북구와 강동구 전셋값 하락을 견인하고 있다.
13일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시세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와 강동구, 송파구 일대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2018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4개월간 평균 2.78% 하락했다. 특히 성북구 의 경우 3.3㎡당 1576만원 수준을 유지하던 아파트 전세가격이 올해 2월 1514만원으로 3.88% 하락했다. 같은 기간 강동구와 송파구는 각각 2.60%(1823만원→1776만원), 1.85%(2002만원→1965만원)으로 떨어졌다.
↑ 성북구·강동구·송파구 3.3㎡당 아파트 전세가격 [자료 = KB국민은행, 경제만랩]
이 일대 하락률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평균 1억원 가량 하락한 셈이다. 실제 서울 성북구 '길음뉴타운 e편한세상 4단지' 전용 84㎡는 작년 10월 5억원에 전세계약이 이뤄졌지만, 올해 2월에는 3억9000만원에 거래되면서 1억1000만원 하락했다. 같은 기간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 전용 84㎡와 '가락우성1차아파트' 전용 109㎡ 역시 각각 6억800만원에서 5억8000만원으로, 5억2000만원에서 4억원으로 내려 거래됐다.
전셋값 전망지수도 추락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101.5 수준이었던 서울 전세가격 전망지수는 올해 2월 78.4로 23.1나 내려 앉았다.
오대열 리서치팀장은 "일반적으로 대단
지 아파트가 입주를 시작하면 전세물량이 급격히 늘면서 해당 단지는 물론 주변 아파트들의 전셋값도 끌어 내리는 경향이 있다"면서 "특히 전셋값 하락폭이 큰 경우 '깡통전세'에 대한 위험도 커지는 만큼 (예비)세입자들은 보증보험이나 경매제도에 대해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