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경제 분석은 5월 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트윗 이후 완전히 반전됐다. 미·중 무역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고 갈등이 더욱 심해지면서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요한 투자 변수로 등장했던 문제가 정치적·지정학적 이슈였다. 2012년 미국채 신용등급 하락과 유럽 재정위기가 그랬으며, 2016년 브렉시트와 트럼프의 등장이 그랬다.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거의 모든 자산이 트럼프의 트윗에 춤을 췄다. 그러나 이는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지 대응할 수밖에 없는 영역이라는 무기력한 답변이 반복됐다.
경제 분석 입장에서 정치적·지정학적 분석은 음모설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과거에도 9·11 테러와 이라크 전쟁처럼 시장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던 글로벌 정치적·지정학적 사건이 있었지만 대부분 단기 충격에 그치면서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를 계기로 향후 금융 투자에서도 정치적·지정학적 접근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으로 보인다.
1990년 초반 당시 미국의 외교 엘리트들은 중국을 시장경제로 받아들인다면 중국 정치체제도 변하거나 망할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30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은 중국을 보면서 그들은 그동안의 대중국 전략이 완전히 잘못된 것이었음을 체감했고 트럼프의 대중국 압박에 전면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현재 미·중 갈등을 무역분쟁으로만 볼 수 없다면 향후 국제질서 패권을 다투는 양 진영 대결을 경제적 접근만으로 분석하는 것은 커다란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에 투자하는 기업은 완전히 달라진 지정학적 구도에 따라 정치적·지정학적 이슈에 대비해야 한다. 중국이 미국과 일본 자본보다 한국 자본을 원했던 지난 30년 동안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활동하는 데 큰 제약이 없었다. 그러나 신형 강대국으로 등장한 중국이 핵심 이익을 양보할 리 없다. 제2·제3의 사드 재발을 염두에 둔 전략을 언제나 갖고 있어야 한다. 수년
[신환종 NH투자증권 FICC리서치센터장][ⓒ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