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뉴욕 증권거래소에 다우지수 2만7000선과 S&P지수 3000선 돌파를 기념하는 모자가 전시돼 있다. [EPA = 연합뉴스] |
시장에서는 한미 증시 괴리 원인으로 양국 정부가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다르다는 점을 첫손에 꼽았다. 각종 감세와 통화정책을 동원해 기업 성장을 밀어주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기업에 대한 규제와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증시가 박스권에 빠졌다는 설명이다.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짓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경기가 침체에 빠지기 전 손을 쓰겠다는 입장을 확고히 했다. 지난 10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경기확장 국면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대응 조치를 하겠다"는 의지를 비쳤다.
유승민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6월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이 5개월래 최대 폭인 22만4000명 증가했음에도 연준은 이달 말 FOMC에서 25bps의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 확실시된다"며 "핵심 경제 지표 호조에다 금리 인하는 위험자산에 호재"라고 전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기업에 대한 감세 정책도 주가 부양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변준호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낮춘 미국 정부의 감세 정책이 주식시장 활성화에 영향을 미쳤다"며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통화정책, 미국 기업의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도 증시 상승의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
대중국 관세 일부 면제도 미국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9일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의료기구 등 110개 중국산 품목에 부과한 25% 관세를 1년간 면제한다고 밝혔다.
김영환 KB증권 연구위원은 "미국의 관세 면제가 시작되면서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실물경제 영향은 당초 예상보다 경감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김승현 유안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은 올해 3월부터 금리 인하 얘기가 나왔고, 인도는 올해 들어 금리를 세 번 인하했다"면서 "한국은 금리 인하나 인상에 있어서 후행적인 스탠스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7월에 인하를 단행하더라도 늦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반도체·디스플레이 부품 수출규제 등 한일 간 무역 갈등도 한국 증시에 부정적 요인 중 하나다. 앞으로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어떻게 흘러갈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주식 선호 심리가 위축될 수 있어서다. KB증권은 한일 간 무역갈등이 심해지면 한국 경제성장률이 2%를 하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KB증권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3분기에만 적용되는 경우(시나리오 1)와 3~4분기(시나리오 2), 내년 말까지 지속되는 경우(시나리오 3)를 가정했다. 장재철 KB증권 연구원은 "수출 부진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락 폭은 시나리오 1·2·3이 각각 0.19%포인트, 0.37%포인트, 0.74%포인트로 나타났다"며 "하반기 중 한 분기의 생산 차질만으로도 2019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2%를 하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과 미국의 산업 지형도가 다르다는 점도 양국 격차가 벌어진 요인이다. 미국은 IT산업 등 4차 산업, 헬스케어 업종 등 성장성이 높은 분야가 증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편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다.
서정훈 삼성
[정승환 기자 / 홍혜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