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청년 주거불안 해소대책으로 마련한 '역세권 청년주택'이 2022년까지 8만세대 공급(사업시행인가 기준)을 목표로 순항 중이라고 31일 밝혔다.
최근 일부에서 지난 3년 간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배정된 예산 중 실제 집행된 금액은 전체 20.9%(139억3100만원)에 불과하다거나 사업인가가 완료된 곳도 목표치의 18%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한 것이다. 일부 현장의 착공지연과 관련 시행법 개정으로 입주 일정이 수차례 변경되거나, 역세권 청년주택으로 확보한 입지의 인근 지역주민들이 청년주택 반대 시위를 벌이는 등의 난관도 있었다.
이날 시는 사업계획을 최초 승인한 2017년 2월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사업시행인가가 완료된 곳은 약 1만4000세대(37개 사업)로, 이 기간의 공급목표(3만500세대) 대비 46%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유관기관 협의 등 현재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6800세대를 더하면 68%(2만800세대)다.
이밖에 추가로 사업시행자의 의뢰로 시가 사업 가능성을 검토·안내한 7200세대, 사업자가 추진의사를 타진해 자체적으로 사업성을 검토 중인 8300세대도 진행 중이다.
현재 사업시행인가를 완료한 1만4000세대 중 약 7800세대는 건축공사를 진행 중이며, 나머지 6200세대는 굴토심의, 건축물구조심의, 시공사 선정 등을 거쳐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 건립 중인 역세권 청년주택 모습 [사진 = 이미연 기자] |
김성보 서울시 주택기획관은 "현재 청년 1인가구의 37%가 지옥고(반지하, 옥탑방, 고시원)에 살고 있다. 윗세대를 지탱하고 미래세대를 연결하는 청년세대가 주거 빈곤층으로 전락해 사랑할 수 없고, 결혼할 수 없고,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사회가 되는 건 청년 세대를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