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중소기업들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지역보증재단 등 보증기관에서 보증서를 발급받아 은행 대출을 받곤 한다. 중소기업의 부족한 신용을 보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증서를 발급받으면 은행으로서는 위험이 줄게 되는데, 만약 대출을 받은 기업들이 대출을 상환할 수 없게 되더라도 이들 보증기관이 이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출액의 100% 보증을 받았다면 은행들에 주어진 리스크는 사실상 '0'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금리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각 은행이 부과하는 가산금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은행들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고, 여기에서 '가감조정 전결금리'를 제해 최종 대출금리를 산정한다. 기준금리는 은행의 조달금리와 연관이 깊은데,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0% 보증을 받은 중소기업대출의 시중은행 기준금리(5~7월 기준)는 연 1.65~2%다. 문제는 가산금리다. 가산금리는 △대출 취급에 따른 은행의 인건비·전산 처리 비용 등 업무원가 △보증기관 출연료와 세금 등 법적 비용 등을 계산해 산출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0% 보증을 받은 중소기업대출의 가산금리는 은행별로 천차만별이었다. 전북은행이 연 3.3%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은행은 KDB산업은행(1.1%)이었으며, BNK부산은행(1.37%) NH농협은행(1.49%) 등이 뒤를 이었다.
물론 가산금리를 산정하는 세부 방식은 은행마다 다르다. 하지만 대출액 전액에 대해 보증을 받은 기업조차도 은행에 따라 가산금리 차이가 이 정도로 크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게 금융권 안팎의 시각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가산금리 산정 방식은 은행마다 다르겠지만 100% 보증을 받은
[최승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