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물론 대한민국의 중앙역인 서울역 통합개발이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의 동상이몽 때문에 사업에 속도를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 당초 양측은 지난 2월 서울역 통합개발계획(마스터플랜) 마련을 위한 공동용역을 낼 계획이었지만 10개월이 지난 최근에야 비로소 용역을 발주했다.
서울역이 대도시 중앙역으로서 위상을 갖추지 못한 채 방치된 반면 강남권 삼성역 일대 개발은 올해 말부터 본격 시작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서울의 강남·북 균형 발전이 멀어지고 강남 집값 상승을 더 자극할까 우려된다.
13일 국토부와 서울시,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6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서울역 공간구조 개선 및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긴급 입찰공고를 냈다. 17일까지 입찰서를 접수하고 협상을 거쳐 용역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연구용역 예산은 4억5000만원으로 국토부와 서울시가 각각 1억5000만원, 철도시설공단이 1억원, 한국철도공사가 5000만원을 부담했다.
현재 서울역은 지상에 지하철 1호선(경부선), 경의중앙선 등 2개 노선, 지하에 공항철도, KTX, 지하철 4호선 등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또 앞으로 10년 이내 GTX A·B 노선, 신분당선, 신안산선, 수색~금천구청 고속철도 등 5개 노선이 추가될 예정이다.
올해 1월까지만 해도 국토부와 서울시는 2월 중 공동용역을 발주한다는 계획이었지만 당초 일정보다 10개월지연된 것은 국토부와 서울시의 서울역 통합개발 청사진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비용 때문에 기존 경부선과 경의중앙선 철도는 지상에 두고 KTX, GTX 등 새로 들어설 철도만 지하화하자는 반면 시는 기존 지상 철도와 새로 들어설 철도를 모두 지하화하고 환승이 편리한 '벌집구조'의 통합환승역사로 만들자는 입장이다.
국토부 의견을 1안으로, 서울시 의견을 2안으로 집어넣고 공동용역을 통해 결론을 내자는 게 시 주장이었지만 이것이 수용되지 않으면서 용역 발주가 늦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문제는 양측 입장 차가 여전히 좁혀질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 이번에 발주된 용역은 사실상 국토부 의견을 토대로 개발 계획을 구체화하려는 것이다.
서울시는 공동용역 발주에 앞서 '서울역 철도기능 개선을 통한 공간구상 용역'(예산 2억3000만원) 입찰공고를 내고 지난달 수의계약을 체결했다. 시 담당자는 "국토부 의견을 존중해 공동용역을 냈지만 모든 철도를 지하화하고 지상 공간을 복합개발해야 한다는 시 입
결국 1년6개월 뒤 공동용역을 통해 통합개발계획이 나오더라도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학계 전문가는 "서울의 허브 역할을 하는 서울역과 용산역을 지하화하고 역 주변을 개발하면 효과가 크고 강남·북 균형 발전과 집값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