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신년기획 / 지구촌 제로금리 공습 ③ ◆
↑ 일본 핀테크협회가 운영하는 공유 사무실 `피노랩(Finolab)` 입구에 핀테크의 투자 파트너로 활약 중인 일본 메가뱅크 등 기업과 기관들 명패가 걸려 있다. [도쿄 = 김강래 기자] |
기토 부회장은 "아직 규모는 작지만 크라우드펀딩이나 로보어드바이저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개인, 특히 젊은 층에게 자산 관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자신도 크라우드펀딩 기업인 '크라우드 리얼리티'를 운영하며 부동산과 연계한 개인 간 거래(P2P)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 핀테크는 저금리 사회에 구원투수로 등판하면서 역할과 규모를 키우고 있다. KPMG의 '2019 세계 100대 핀테크 기업' 보고서에서는 일본 핀테크 기업 총 4곳이 최종 100대 회사에 선정됐다.
2017년만 해도 일본 핀테크는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1곳만 선정됐다. 하지만 불과 2년 사이에 우리나라(2곳)보다 많은 4개 회사가 100대 핀테크 기업에 포함된 것이다. 100대 핀테크에 포함된 일본 회사 4곳 중 2곳은 자산 운용과 투자 분야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폴리오(Folio)는 증권 투자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히트를 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기능이 있어 직접 투자처를 고르지 않아도 되고, 개인 맞춤형 자산 관리 기능을 선보여 기존 금융사와 다른 '대체재' 역할을 하고 있다. '토라노테크(Toranotec)'는 자산 관리 전문 핀테크로, '토라노코(Toranoko)'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2017년 출시했다. 토라노코는 '잔돈 재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가 결제하고 남은 잔돈을 모아 투자 펀드에 넣어 자산을 불리는 개념이다.
핀테크는 일본 정부의 국가 성장 전략 청사진인 '소사이어티(Society) 5.0'의 5대 축 중 하나다. 일본 정부는 저금리 장기화로 경제 활력이 떨어지고 은행 수익성이 악화한다는 판단 아래 해법을 고심해 왔다. 고민 끝에 찾은 답이 핀테크다. 정부의 정책 드라이브로 일본 금융 소비자들은 자산을 운용·관리할 수 있는 도구가 많아졌다.
다케하나 가쓰토시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에는 라인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앱 내에서 주식 투자, 보험 가입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인은 지난 8월 주식 투자 기능을 앱에 탑재했다.
유럽에서도 핀테크 역할이 커지고 있다. 제로금리 시대엔 매달 알게 모르게 나가는 지출을 줄이는 것이 재테크의 시작이다. 덴마크 핀테크 업체 '수바이오(Subaio)'는 여기에 집중해 구독 관리 서비스를 선보였다.
2016년 창업한 수바이오는 쉽게 말해 고객들의 '구독'을 관리해주는 핀테크 업체다. 노래부터 영화까지 뭐든지 구독하는 '구독경제'에 꼭 필요한 서비스다. 쇠렌 닐센 수바이오 최고영업책임자(CCO)는 "사람들이 몇 가지 서비스를 구독하는지 한번에 보여주고 쉽게 신청·해지할 수 있도록 창업했다"고 했다. 그는 "북유럽
[특별취재팀 = 이승훈 차장(샌프란시스코·LA) / 김강래 기자(도쿄) / 정주원 기자(런던·암스테르담·바우트쇼텐) / 이새하 기자(스톡홀름·코펜하겐·헬싱키)][ⓒ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