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매일경제신문이 한국감정원의 '아파트 매매거래 월별·매입자 거주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문재인정부 기간(2017년 5월~2019년 10월)에 외지인(서울 타 자치구와 비서울 거주자)이 서울 아파트를 구입한 비중이 전체 서울 아파트 구입자의 54.1%를 기록했다. 문재인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총 22만7134건인데 비서울 사람이 4만898건, 서울 다른 자치구 사람이 7만6844건으로 동네 사람(관할 자치구 내 거주자)이 구입한 건(10만4301건)을 앞질렀다는 것이다. 박근혜정부(2013년 3월~2017년 4월·탄핵 이후 기간도 포함) 당시 40만4882건 가운데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구입이 19만6212건(45.2%)이어서 문재인정부 들어 외지인 매입 비율이 약 9%포인트나 높아졌다.
이 같은 현상은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곳이 '용산구'다. 용산구 아파트의 외지인 구입 비율은 박근혜정부 때 60.1%에서 문재인정부 때 71.8%로 무려 11.7%포인트 상승했다. 10채 중 7채(5957건 중 4278건)를 용산구민이 아닌 사람이 구매했다는 이야기다. 고층 주상복합 등이 들어서면서 외부 투자가 유입된 덕분에 용산구 아파트의 매매 중위가격 상승률은 이번 정부 들어 7억원에서 13억3000만원으로 무려 90%나 뛰었다. 서울 자치구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도 박근혜정부 때 외지인의 아파트 매입 비율이 40%대 중후반이었는데 문재인정부 들어 50%대 중후반으로 올랐다. 강남 아파트 2채 중 1채 넘게 강남3구에 직접 거주하지 않는 외지인이 구입한 셈이다. 학군 등에 대한 수요와 투자가치가 꾸준히 외부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
문재인정부 들어 서울 강남3구의 아파트 매매 중위가격도 가구당 3억~5억원가량 상승했다. 상승폭으로 보면 용산구(6억3700만원) 다음으로 높다. 이명수 리얼앤택스 대표는 "최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인해 강남 재건축의 경우 보유 부담이 늘고 투자가치가 떨어지면서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급매물을 정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도 "다만 학군과 인접한 강남 신축의 경우 전세를 낀 갭투자 유인이 아직 남아 있어 강남 내에서도 재건축과 신축 간 명암이 엇갈릴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서울 내 8개 자치구(중랑·도봉·은평·강서·양천·금천·영등포·관악구)는 외지인 구입 비율이 지난 정부에 비해 높아졌으나 여전히 동네 주민의 구입 비율이 50%를 넘었다. 투자 목적보다는 실수요자가 다른 자치구에 비해 많다는 의미다.
경기도에서도 외지인 매입 비율이 높을수록 가격이 오르는 현상이 목격됐다. 이번 정부 들어 아파트 매매 중위가격이 2억~3억원씩 올랐던 과천시, 구리시, 하남시, 성남시 수정구·분당구는 모두 외지인 매입 비율이 이번 정부 들어 지난 정부보다 많게는 6~24.7%포인트가량 올랐다. 가령 과천시의 경우 문재인정부 들어 총 1630건의 아파트 매매거래가 있었는데 과천시민이 구입한 것은 453건(27.8%)에 불과했다. 그 밖에는 모두 외지인이 구입한 것(72.2%)인데, 박근혜정부 때 외지인 구입 비율이 47.5%인 것을 감안하면 무려 24.7%포인트가 껑
[나현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