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본시장 혁신 현장을 가다 / ② 제도 혁신으로 자본 유치 경쟁 ◆
↑ 올해 본격 가동 예정인 LTSE가 실리콘밸리은행(SVB) 임직원들과 샌프란시스코에서 향후 가동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 제공 = SVB] |
LTSE의 또 다른 혁신 전략은 상장·공시 부담 완화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승인받은 미국 내 14번째 거래소인 만큼 기존 거래소와 경쟁하기 위해선 차별된 기업 유인책이 필요하다. 다른 증권거래소에 이중 상장을 허용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 책임은 "LTSE 목표는 기업의 상장 관련 비용 최소화"라며 "연간 실적과 10년 실적 공시 의무화를 통해 장기 실적에 집중할 수 있는 투자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장기적인 실적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는 얘기다. LTSE는 또 VSM(Very Simple Market)으로 불리는 주문 체결 서비스는 수수료(Fee)를 없애고 모든 주문을 공개한다.
나스닥 IPO부문 관계자는 "주식시장을 둘러싼 규제 개선 활동을 시작한 2년 새 7개 법안이 의회에서 위원회 및 하원을 통과했고, 증권감독당국은 우리가 강조한 내용이 담긴 13개의 규칙 및 발표를 내놨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중소기업에 대해 분기보고서 제출 부담 경감을 추진했다.
이에 질세라 뉴욕증권거래소는 상장 수수료 인하에 나섰다. 바이오테크 기업을 잡기 위해 연수익이 500만달러 이하이면서 시가총액이 2억달러 이상인 기업에 대해 3년간 연간 상장 수수료를 75% 인하하고, 상장 수수료 상한선을 10만달러로 제한하는 정책을 지난해 중순 도입했다.
LTSE와 나스닥 등 글로벌 거래소들이 '혁신'으로 전 세계 기업들을 끌어들이고 있는 반면 한국거래소는 정체 상태다. 거래소가 상장에 나섰던 '우아한형제들'은 코스닥 대신 해외 매각을 선택했다.
한국거래소는 공시나 상장규정을 바꿀 때 금융위 승인을 거쳐야 한다. 올해부터 상장회사가 이사·감사를 선임하는 주주총회를 소집하는 경우 후보자의 세금 체납처분을 공시해야 한다. 또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자율공시 항목에
[기획취재팀 = 남기현 팀장(싱가포르) / 정승환 기자(샌프란시스코) / 진영태 기자(런던) / 홍혜진 기자(뉴욕·보스턴) /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샌프란시스코)][ⓒ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