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프로그램을 구입한 국가정보원이 민간인 사찰 의혹을 받자 사용 기록을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원을 방문하겠다는 국회의원들의 요구도 수용하기로 했습니다.
이례적인 일인데요,
이동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야당이 제기하는 '민간인 사찰'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국정원이 해킹 프로그램 사용기록을 모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원은 또 국정원 방문을 원하는 국회 정보위원들의 요구도 수용하기로 했습니다.
국정원은 어제(17일) 홈페이지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해킹프로그램의) 사용기록을 보면 국정원이 민간사찰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아주 간단한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덧붙여 "사용기록을 정보위원님께 보여드릴 예정이다. 이는 기밀이지만 지금의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비상조치로 보여드릴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보기관의 특성상 모든 자료를 공개한다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지만, 국정원에 대한 불신이 커지자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국정원은 "국정원은 '국민의 국정원'"이라며 "거짓말을 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결백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국정원의 입장 발표에 대해 새누리당은 "당장 현장 방문을 하자"고 제안하며 환영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오히려 "면밀한 조사를 위해 천천히 하자"고 말했습니다.
새정치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국정원의 보도자료에 대해 "단순히 국회 정보위원들에게 사용기록을 보여주는 수준이라면 면죄부를 얻기 위한 꼼수"라고 말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안철수 의원을 위원장으로 '국민정보지키키위원회'를 출범시킨 상황이며, 위원회에 컴퓨터 전문가 5명을 추가로 영입했습니다.
MBN뉴스 이동훈입니다.
영상편집 : 송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