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랍에 저녁을 넣어두었다 |
지난 한 해 교보문고에서 10~60대 남녀를 통틀어 가장 많이 판매된 시집은 한강의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교보문고는 3월 21일 ‘세계 시의 날(World Poetry Day)’을 맞아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시 관련 독자 분석 데이터를 공개했습니다.
감성적인 문체와 깊이 있는 주제를 담은 시의 내용에 작가의 노벨상 수상 소식이 더해져 판매량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시집을 판매한 시인으로는 나태주가 꼽혔고, 그 뒤로는 윤동주, 류시화, 한강, 박준 이 뒤를 이었습니다.
나태주는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언어로 독자들에게 위로와 따뜻함을 선사하며, 류시화는 명상적이고 철학적인 시로 오랜 기간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는 시인과 소설가로 함께 활동하며 깊이 있는 문장과 시적 감각을 보여주었고, 박준은 현대적 감수성을 담은 시를 통해 젊은 독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작년 한 해 교보문고 온라인에서 시집을 가장 많이 구매한 독자는 2030 여성으로 나타났고, 10년간 시집을 가장 많이 판매한 출판사는 문학과지성사, 문학동네, 지혜 순이었습니다.
문학과지성사는 기형도, 김혜순 등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작품을 다수 출간하며 전통적인 시 독자층을 확보해 왔습니다.
시집 출간은 지난 2015년 5001종에서 2024년 13611종으로 약 172% 증가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산문과 결합한 시집, 감각적인 디자인을 강조한 형태로 출간되면서 독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
↑ '세계 시의 날' 기념 이벤트 |
교보문고는 3월 21일 ‘세계 시의 날(World Poetry Day)’을 맞아 시인과 독자가 함께하는 북토크 등 다양한 이벤트 진행에 나섭니다 .
22일부터는 시인 고선경, 박연준, 박참새, 서윤후, 이장욱, 한영원과 소유정 평론가가 함께하는 북토크 '문전성詩'가 진행됩니다. 각 세션마다 시 낭송과 시 창작 배경에 대한 이야기, 독자와의 질의응답이 이루어지는 이번 북토크는 3월 22일부터 4월 12일까지 매주 한 차례씩 총 4회에 걸쳐 진행됩니다.
22일 첫 세션에서는 고선경 시인이 소유정 평론가와 함께 고선경 시인의 신작 시집 『심장보다 단단한 토마토 한 알』에 대해 이야기하고, 29일에는 박연준 시인이 ‘내 책상에 사는 시인들’이라는 주제로 창작에 영감을 주는 시인들의 시를 살펴보며 '시적인 것'이란 무엇인지 탐구합니다. 4월 5일에는 박참새 시인이 한영원 시인과 함께 시집 『정신머리』에 대해, 4월 12일에는 이장욱 시인이 서윤후 시인과 함께 '시집 『음악집』 깊이 읽기’라는 주제로 북토크를 마무리합니다.
‘시집 짓는 사람들의 시시콜콜’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시인과 출판인은 인생 시집과 꼭 암송하고 싶은 한 편의 시 등 시에 관한 응답을 공유하고, 독자들이 이벤트 페이
세계 시의 날은 1999년 유네스코(UNESCO) 총회에서 제정된 기념일로, 인류가 가진 시 문학의 가치를 기념하고 시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정됐습니다.
[심가현 기자 gohyu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