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원전 사태를 해결할 실마리를 좀처럼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과연 우리 원전은 안전한가에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원전의 안전성을 둘러싼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면서 본격적인 논리전쟁이 시작됐습니다.
이정호 기자입니다.
【 기자 】
우리 국민들은 일본 원전에서 벌어진 비상사태에 대해 불안감 속에서도 비교적 차분한 태도입니다.
▶ 인터뷰 : 이영자
- "방사선 물질이 우리나라 쪽으로 온다고 하면 그것을 대비해서 방비를 하면 큰 문제가 없지 않을까 싶어요."
하지만, 시민단체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일본 사례를 들며 원전 자체가 마냥 안전하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한국의 원전 내진 기준은 규모 7.9인 일본보다 크게 낮은 6.5에 그치고 있는데, 대지진이 날 경우 일본보다 더한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양이원영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
- "문제는 단 한 번의 사고로 인간이 제어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는 겁니다. 저는 그것이 우리나라라고 해서 비켜갈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는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먼저 규모 6.5였던 원전 내진 기준을 신규 원전에 대해선 7.0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특히 원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폭발이 생기거나 방사선이 새 나가는 상황을 막기 위한 겹겹의 안전장치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강신헌 / 한국수력원자력 안전기술처장
-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백금촉매에 의해서 수소가 포집이 되면 수소를 산화·연소시켜서 (폭발하지 않게 합니다.)"
이산화탄소 감소, 수출 산업 부상과 같은 호재로 인해 한동안 잠잠했던 '원전 논쟁'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MBN뉴스 이정호입니다. [ ice@mk.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