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금융권의 횡포를 방치한 금융당국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감시, 감독에 집중해도 모자랄 판에 정작 금융당국은 이해관계에 따라 불협화음만 내고 있습니다.
은영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 20일자 일간지에 실린 광고입니다.
저축은행 사태를 불러온 금융관료의 실정과 정치권의 개입을 꼬집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광고를 의뢰한 곳은 다름 아닌 금융감독원 노조.
하부 민간 감독기구인 금감원이 상부 관료조직인 금융위원회를 광고까지 동원해 정면 비판하고 나선 겁니다.
금융감독 권한을 놓고 금융위와 금감원 간 갈등의 골이 얼마나 깊은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 인터뷰 : 추효원 / 금융감독원 노조위원장
- "금융관료들이 점차사무국을 만들고 사무국 인원을 늘려가면서 금융감독 권한을 뺏어간 거죠."
금융정책의 또 다른 축인 한국은행도 조직 내 내홍이 위험수위입니다.
내부 게시판에 김중수 총재의 경영스타일에 대한 비방의 글이 올라오자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조태진 / 한국은행 노조위원장
- "명예훼손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 법률질의한다는 것은 의사소통을 제한하겠다…."
집안 싸움 잦은 조직이 제대로 굴러가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금융당국 간 손발 안 맞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과 권혁세 금감원장 간에 가계부채 해법을 놓고 시각차를 드러내는가 하면, 진작 조작 가능성이 제기된 CD금리 개선 작업도 이견조정을 못 해 마냥 세월만 보냈습니다.
▶ 스탠딩 : 은영미 / 기자
- "금융 불신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먼저 조직을 추스르고, 정책 리더쉽을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MBN뉴스 은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