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자산 중 부동산 보유비중이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눈 앞에 다가온 한국인의 노후준비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은 7일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2013년 우리나라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의 비중은 73.3%이고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67.8%라고 밝혔다. 2012년 기준 가계 자산 가운데 부동산 보유 비중은 호주가 61.3%, 유로존 58.3%, 영국 50.1%, 일본 40.9%, 미국 31.5%로 집계됐다. 이에 비하면 한국의 부동산보유 비중은 가장 높다.
한국의 부동산 가격 추이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08∼2013년)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율은 연평균 2%(아파트는 2.6%)로 둔화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였음을 고려하면 실질 매매가격은 더 크게 하락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60세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실질가격)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역 모기지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시했지만 노령층들에겐 생소한 개념이라 수요가 적었다"며 "새롭게 시장을 만들어 부동산을 현금화, 증권화해 노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특히 은퇴 고령층이 병원비 등으로 부동산을 처분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것"이라면서 "고령층의 주택을 현금으름으로 전환할 수단이 필요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