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가구 비율 사상 최저'
지난해 적자가구 비율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가구(2인 이상)의 적자가구 비율은 22.0%로 전년보다 0.5% 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0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저수준이다.
적자가구는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금액이 마이너스(-)인 가구다. 이 비율의 감소는 가계의 부채 의존도가 줄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소득 증가보다 소비 위축에 의존해 적자가구 비율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런 현상이 저소득층에 더 심하게 나타나 좋게만 볼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전국 가구의 소득과 처분가능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3.4%와 3.5% 늘어났지만 소비지출은 2.8% 증가하는데 그쳤다.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해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서운주 통계청 과장은 "소비성향이 줄어들고 저소득층의 적자가구 비율이 상당히 큰 폭으로 줄어 전국의 적자가구 비율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소득 분위별 적자가구 비율을 보면 소득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는 46.5%로 전년보다 5.2%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가장 큰 하락 폭이다.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 감소는 소득이 늘어났지만 소비를 줄였기 때문이다. 1분위의 소득과 처분가능소득은 5.6%와 7.4% 증가했지만 소비지출은 0.1% 줄었다.
2분위의 적자가구 비율도 26.1%로 전년보다 0.6%포인트 떨어져 최저치였다.
2분위의 소득과 처분가능소득은 2.2%와 1.9% 늘었지만 소비지출은 0.4%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경기에 대한 불안감이 부채에 의존해 소비하는 저소득층의 성향을 위축시킨 것으로 보인다”면서 "생계형 빚이 많은 저소득층의 적자가구 비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그만큼 저소득층의 삶이 더 힘들어졌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소비 위축은 기업의 투자 및 고용 감소로 연결되고 이는 소득 감소라는 부정적 효과를 일으켜 적자를 더 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4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12.6%로 0.5% 포인트 하락, 2005년의 12.5% 이후 가장 낮았다.
이들 분위와 달리 중
3분위의 비율은 17.1%로 2.6%포인트, 5분위의 비율은 7.6%로 1.1%포인트 상승했다. 3분위와 5분위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소득과 처분가능소득보다 높았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