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나라 성장률은 0.17%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경우 일본 성장률은 0.0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돼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중국발 경기충격에 3배나 더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가 하락할 때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은 같은해 0.17%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KDI 관계자는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 특성상 중국 경제성장률 악화는 바로 우리 수출기업에 직격탄이 된다”며 산출 배경을 설명했다. 이같은 KDI의 분석은 같은 조건을 대입해 중국 성장률 하락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일본 연구기관의 결과와 큰 차이가 난다. 일본의 유수 금융기관인 후코쿠 생명보험사가 닛케이 니즈모델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중국 성장률 하락으로 일본 GDP 성장률은 같은 해 0.05% 하락하는 데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LG경제연구원은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중국발 충격을 잘 흡수하는 배경에는 일본 기업들이 2010년대 들어 경쟁적으로 추진해 온 ‘China + 1’ 전략이 있다고 밝혔다. China + 1 이란 일본기업이 저임금 일자리를 인도·동남아 등 인도차이나반도로 선제적으로 옮기고 중국을 생산기지가 아닌 거대한 소비시장으로서 바라보는 전략을 의미한다.
일본도 우리와 비슷하게 2000년대 들어 중국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일본의 총수출 중 대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13.4%에서 2011년 19.7%까지 급속히 올라갔다. 하지만 일본 기업들은 중국의 급격한 인건비 상승 등을 미리 우려해 선제적으로 생산기지를 동남아시아와 인도로 옮기기 시작했다. 실제로 인도에 진출한 일본기업 수는 2008년 550개에서 2014년 1209개로 2배 이상 늘어났으며 태국에는 1600여개의 일본기업이 진출한 상태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들어 일본의 동남아시아 전략이 보다 세분화되어서 태국을 중심으로 미얀마, 베트남, 필리핀으로 뻗어나가는 ‘Thai + 1’ 전략을 쓰고 있다”며 “일본은 중국과 태국 그리고 인도 등을 거점으로 활용하면서 그물망처럼 주변국으로 경제력을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의 대중국 의존도는 2011년을 정점으로 매해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는 8월까지 17.2%에 그쳤다.
일본은 서
가령 산업용 로봇을 생산하는 야스카와전기는 최근 들어 상해에 로봇센터를 건설해 사업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일본 최대 쇼핑업체인 이온 역시 중국 내 쇼핑센터를 2020년도 말까지 400점포로 늘릴 계획이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