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24일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드론 LTE를 비롯해 기지국을 배낭 크기로 축소해 이동성을 높인 백팩 LTE와 위성 LTE 등을 차례로 공개했다.
드론 LTE는 기지국 핵심 장비를 부착한 새로운 형태의 이동기지국 솔루션으로 초경량 초소형 비행 기지국이다. 사람이나 차량 접근이 어려운 재난 지역에 드론 LTE를 띄워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 구조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가 좀 더 수월해졌다.
다수의 드론을 함께 띄우는 편대 비행방식으로 넓은 통신 지역을 확보하고, 드론 정거장(드론 스테이션)을 이용해 차례로 급속 충전한 후 이륙하는 방식으로 20여분의 짧은 드론 배터리 단점도 보완했다.
오성목 KT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KT는 지난달 국토교통부 주관 드론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만큼 드론 시스템 개발은 물론 민간이 협력하는 관련 서비스와 사업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T는 오는 2018년 최대 비행시간 40분, 운영 반경 20km, 탑재 중량 5kg의 고성능 드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산악과 해상 지역을 위한 백팩 LTE와 위성 LTE 솔루션도 공개됐다. 백팩 LTE는 기존 LTE 기지국을 배낭 형태로 축소시킨 것으로 기존 15kg보다 가벼운 9kg으로 제작돼 이동성을 높였다.
지난 7월 개발에 들어간 이후 공개된 첫번째 상용화 제품으로 기지국 신호가 약한 산악 지역이나 이동기지국 차량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직접 장비를 메고 출동해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돕는다. 전화국에서 최대 20km까지 수신할 수 있으며 백팩 LTE 근방 500m~1km 지점까지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
위성 LTE는 위성을 전송망으로 이용해 도서지역의 긴급 통신이나 광케이블·마이크로웨이브 전송망 구축이 어려운 해상에서 이용 가능한 솔루션이다. KT는 이미 독도와 백령도,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등에 위성 LTE를 구축해 서비스 중이다. 서비스 커버리지는 해상에서 최대 10km까지다.
오 부사장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성공적인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이고, 국가적 비상사태에 대응할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의 첫 발인 시범사업도 완벽하게 수행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KT는 조달청과 270억원 규모의 ‘2015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제1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평창 지역을 중심으로 PS-LTE(공공안전 LTE) 기반 단일 통신망 구축과 운용 등 시범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재난과 재해 등으로 기존 상용 통신망이 먹통이 된 상황에서 전용 네트워크를 이용해 주요 정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매경닷컴 배윤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