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소비주도층 100만명·장마당 750개 추정"…"한국 제품 인기"
북한의 내수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소비 주도층이 약 1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해외직구매를 통해 남한 제품을 사들이는 경향이 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22일 오후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와 한반도통일연구원, 금강산기업인협의회 공동주최로 열린 '8.25 합의 이후 남북경협의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의 세미나에서 "비즈니스 활성화 주체로서 '돈주'들이 성장해 도소매와 부동산, 금융, 임대, 고용 등을 주도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임 교수는 "개인투자의 활성화로 햄버거와 피자, 손세차장, 정육점, 자전거 판매점, 애완견,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대체 에너지로 태양광 판매 등의 새로운 장사 아이템이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체적 사례로 함경북도 청진시 수남시장의 경우 현재 매대가 1만2천여 개로 추정되며, 양강도 혜산시장의 경우 시장 이외 지역과 노점까지 포함하면 4천여 개 매대가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평안남도 한 도시의 경우 2km에 이르는 매대로 형성된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고 임 교수는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시장과 장마당이 시·군·구역에 평균 2개씩 전체 500여 개에 달하며 비공식 길거리·골목 시장을 포함하면 750개로 추산된다"고 임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그는 "일반 주민은 물론 간부 부인과 돈주, 돈주가 고용한 노동자 등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면서 "시장 거래 품목이 다양화되고 자전거 수리 등 서비스 업종이 발달하고 있으며, 배달이 일반화되고 매대 판매와 양도도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임 교수는 이어 "민간에 축적된 외화를 회수하려는 국가의 정책과 연관돼 다양한 식당과 상점이 진출하고 있으며, 인테리어와 운영 시스템이 외국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수준"이라며 "시내에서는 출퇴근 시간에 교통체증이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양근 남북경협활성화추진위원회 상임위원장은 발제문을 통해 "(개성공단과 별도로) 평양과 청진, 원산, 강령 등 4곳에 남한 중소기업의 자본과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한 경공업 중심, 특히 식료품이나 생활필수품 등을 북한 시장에 공급하고 일부는 중국을 비롯한 제3국에 수출하는 '중소기업 중심 전용공단'을 건설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지역별로는 평양(봉제·전자·식료품)과 청진(철광), 원산(수산물), 강령(농산물)의 예를 들었습니다.
정 위원장은 "김대중 정부는 금강산관광으로 남북경협의 물꼬를 텄고 노무현 정부는 개성공단, 이명박 정부는 가스관 연결, 박근혜 정부는 나진항을 이용한 물류 프로젝트와 북한의 내수시장 진출과 제3국 수출을 위한 평양 중소기업전용공단 구축이라는 남북 경협사에 길이 기록될 만한 이정표를 세운 것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손기웅 통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