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오전 어린이 두 명이 어머니 인솔을 받으며 서울시내 한 어린이집으로 등원하고 있다. 이날 정부의 맞춤형 보육에 반대하는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 소속 어린이집이 집단 휴원에 들어간 가운데 서울 인천 울산 강원 충북 광주 전남 등 지역의 민간어린이집은 부분 휴원에 동참하지 않아 다행히 ‘보육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주형 기자> |
전남 나주에 사는 직장맘인 박모씨(35·여)는 아이 어린이집 등원 문제를 놓고 큰 불편을 겪었다.
지난 21일 오후 7시 어린이집에서 느닷없이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받은 박 씨는 월차 휴가를 내려다 결국 친정 어머니에게 사정을 해서 아이를 맡기기로 했다. 하지만 다시 이튿날 오후 어린이집에서 “집회가 철회됐다”는 문자를 받았다.
박씨는 “어린이집의 이기주의에 끌려서 정부가 오락가락하는 바람에 학부모들만 피해를 본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의 맞춤형 보육정책에 반발해 23~24일 민간 어린이집들이 집단 휴원에 나서기로 했지만 참여율이 저조해 우려했던 ‘보육대란’은 없었다. 하지만 일부 어린이집의 편법 운영으로 인한 맞벌이 부모들의 혼란은 피할 수 없었다.
2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한민련)이 집단휴원을 예고한 첫날을 맞아 문을 닫은 어린이집은 한 곳도 없었다. 다만 5185개에 달하는 어린이집이 자율등원 형태의 부분휴원에 참가했다. 학부모들에게 이틀간 가정 양육을 하도록 양해를 구한 뒤, 맡길 곳을 찾지 못해 불가피하게 등원한 아이들만 돌보는 형태다.
학부모 전체의 동의없이 함부로 문을 닫으면 운영정지나 시설폐쇄와 같은 행정처분이 내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복지부도 불법 휴원하겠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혔다.
실제로 1250곳의 민간어린이집이 있는 광주는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했다. 전남도는 1238개 민간어린이집 중에 정상운영이 610곳, 자율운영이 628곳으로 전면휴원은 단 한 곳도 없었다. 박재구 전남도 보육아동팀장은 “곳곳에서 집회가 열렸지만 참석 인원이 예상보다 적었다”면서 “거의 대부분이 정상운영된 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대구 지역도 어린이집 1441곳 중 0~2세가 대부분인 가정어린이집 100여곳만 자율등원 형태로 부분 휴원에 동참했다.
이날 보육대란이 발생하지 않은데는 당초 한민련과 함께 휴원에 동참하기로 했던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가 정부 추가대책 수립을 일단 지켜보기로 입장을 바꾼 데 이어, 최대 어린이집 단체인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가 이날 휴원에 동참하지 않은 점도 크게 작용했다.
일단 학부모들은 안도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이날 보육현장에서 맞벌이 부모들이 겪은 불편은 작지 않았다. 경남 창원에 사는 맞벌이 부부 김모씨(41)는 이날 자율운영에 들어간 어린이집까지 자녀를 통학시켰다. 김씨는 “며칠전 통보를 받았지만 어린이집 통학버
다만 이날 휴원에 동참하지 않은 어린이집 관련단체들도 정부 대책이 미흡할 경우 추후 행동에 나선다는 입장이이서 ‘7월 보육대란’의 불씨는 아직 꺼지지 않았다.
[박진주 기자 / 최승균 기자 / 서대현 기자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