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8월 기준금리를 결정할 금융통화위원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
이에 따라 지난 5월 주택담보대출에서 소득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전국으로 확대한 금융당국이 추가적인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대출심사가 강화됐지만 지난 7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여름철 부동산 시장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올해 월중 최대폭인 5조 8000억원이나 급증했다. 7월 금통위에서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최근 도입된 규제들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보완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이날 이 총재는 “가계대출이 예년 수준보다 빠른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고 금융안정 측면에서 리스크를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저금리도 물론 일정부분 기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부 조치는 시행한 지 얼마 안됐기 때문에 효과를 면밀히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과다한 가계빚은 그 자체로 금융안정을 위협하는 리스크지만 통화당국 입장에서는 금리정책 파급효과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골칫거리다. 저물가·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돈을 풀어도 개별 가구가 빚을 많이 지고 있으면 이자부담과 심리적 제약효과로 소비를 늘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은 올해 1분기 기준 145.6%를 기록해 지난해 3분기 140.7%에 비해 6개월만에 4.9%포인트 상승해 최근 10년간 연평균 상승폭(3.1%포인트)을 크게 웃돌았다.
LTV·DTI 규제비율 완화조치가 1년 더 연장되기로 한만큼 가계부채 부문에 추가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이 금통위원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지난 7월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가계부채 문제를 미시적 감독조치로 대응해 왔지만 처분가능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 제어 차원에서의 규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금통위원도 “대외부문 조기경보시스템뿐만 아니라 가계부채 등 대내부문을 포함한 종합적인 조기경보시스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최근의 가계부채 급증은 기본적으로 낮은 수준의 금리의 영향도 있지만 주로 신규 주택분양 증가와 재건축 경기 상승에 있기 때문에 금리정책이 아닌 미시적 규제로 풀어가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김 교수는 “현재 공급과잉 상태인 신규아파트에 대해서 집단대출을 규제하고, 재건축 아파트의 보증한도를 억제하는 등 돈 쏠림 현상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위가 검토 중인 전세자금 대출 부분 분할상환 제도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높여 추가 대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대처 방안 강구를 주문했다.
허문종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현재 가계부채 문제가 당장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정도로 심각하진 않다”면서도 “가계부채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가계의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고 연체비율이 증가해 은행 부실이 심각해 질 것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은 금융통화
[정의현 기자 /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