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터치스크린은 단단하면서도 잘 깨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어려웠지만 최근 여기에 적용할 수 있는 ‘말랑말랑한’ 터치스크린이 개발됐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 상용화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선정윤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이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투명하면서도 잘 늘어나는 터치스크린(터치패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진이 주목한 하이드로젤은 묵이나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고분자 물질이다. 고체처럼 형체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신축성이 좋고 유연하다.
연구진은 ‘아크릴아마이드’라는 화학물질을 이용해 하이드로젤을 개발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접착제나 플라스틱 등에 쓰이는 무색 물질로, 간단한 실험으로도 구할 수 있고 제작비용이 비싸지 않다.
선정윤 교수는 “이번에 만든 터치스크린에 쓰인 하이드로젤은 아크릴아마이드 기반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라며 “가격도 매우 싸고 패널 1개를 만드는데 1000원 미만의 가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하이드로젤에 염화리튬(LiCl)을 넣어 전기가 통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 소재를 평면 모양으로 만든 뒤 네 모서리에 전기를 걸어줬다.
각 모서리에 전달되는 전류량을 측정해 좌표로 환산하면 손가락이 닿은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제작한 스크린을 사람의 팔에 파스처럼 붙인 뒤 컴퓨터와 연결해 글씨를 쓰고 게임을 할 수 있다. 또 터치스크린을 원래 면적의 10배로 늘렸을 때도 손가락으로 누른 부분의 위치가 제대로 파악됐다.
선정윤 교수는 “기존의 한계를 넘어
[디지털뉴스국 이명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