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들어 잇따라 수도권 등 우리나라를 강타한 고농도 미세먼지는 중국 등 해외 요인이 최대 8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에서는 그동안 국내와 해외 요인이 '50대50'이라고 분석해왔는데 올해 발생한 미세먼지의 경우 중국 등 해외 요인이 더 크다는 분석을 공식 발표한 셈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1월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PM-2.5, 초미세먼지) 원인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과학원은 지난 1월 2~5일 올해 첫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의 경우 중국 등 해외 영향이 65~74%, 1월18~19일 두번째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상황은 해외 영향이 75~80%에 달한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중국에서 겨울철 난방용 화석연료를 태우거나 공장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생긴 스모그가 국내 미세 먼지 발생의 주된 원인으며 북서풍을 타고 날아온 미세먼지가 국내서 발생한 난방 먼지, 경유차 배기 가스 등과 결합되면서 미세 먼지 농도가 더 악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예를 들어 1월 첫주의 경우 중국발 미세먼지가 수도권으로 유입한 후 남부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전국으로 확산됐는데 이 과정에서 국내 배출 오염물질과 결합되면서 미세먼지 상황이 악화됐다. 성분별로는 자동차와 냉난방 등으로 인한 질산염과 유기탄소 증가가 주 원인으로 분석됐다.
18~19일 고농도 상황은 서해상으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대기정체로 인해 제때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동차, 냉난방, 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황산염, 질산염 등 국내 배출 오염물질이 축적되면서 상황이 악화됐다.
다만 국립환경과학원은 연평도로 들어온 미세먼지가 서울을 거쳐 남하하는 과정에서 차량, 공장 미세먼지가 증가하는 경과가 두드러졌다며 해외 요인뿐만 아니라 국내 요인을 관리할 필요성도 크다고 강조했다.
홍유덕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장은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보면 평균적으로 국내 영향이 50%, 국외 영향이 30~40% 정도 되는데, 겨울철에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해외 요인이 크다"고 말했다. 홍 과장은 "중국을 비롯해 몽골, 러시아 등 여러 나라의 영향을 받지만, 절대치로 보면 아무래도 중국이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덧붙였다.
과학원은 이같은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2월말까지 '미세먼지 배출원 세부 규명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중국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 영향 감소를 위해 '한·중 공동연구단'을 구성하고 상반기중 '한·중 대기질 공동관측 민 연구 프로젝트'에도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 1월의 두 차례 고농도 상황은 모두 수도권 차량 2부제 시행요건 2가지중 첫번째 요건(당일 농도)은 충족했지만 두번째 요건(다음날 예보)은 충족시키지 않아 2부제가 본격 시행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6월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후속으로 수도권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경우 차량 2부제, 사업장 조업단축 등 비상저감조치를 2월15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위해서는 노후 화력발전소 등 국내요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들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미세먼지가 심할때 화력발전소 가동량을 조절하는 '환경급전'이 대안으로 현재 기초입법을 마친 상태이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규제들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가운데 올해 중순경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수급계획 변경시 화력발전소 계획량을 얼마나 조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미세먼지는 사업장(41%), 비도로이동(17%), 발전소(14%), 경유차(11%) 순으로 배출원이 크고, 수도권에서는 경유차(29%), 건설기계차량, 선박 등 비도로이동원(22%), 냉난방 등(12%)가 주요 배출원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