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산 셰일가스에 이어 항공기, 자동차, 반도체 설비 등 수입 확대에 나선다. 대미 경상수지 흑자를 줄여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규제와 환율조작국 지정 등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또 멕시코·아르헨티나·브라질 등이 참여한 남미공동시장(MERCOSUR), 러시아·벨라루스 등으로 구성된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는 등 지역경제권과 통상협력을 늘리기로 했다. ▶관련기사 A3면
정부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90차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대외경제정책방향'을 확정했다. 유 부총리는 "우리와 교역비중이 높고 경제적으로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성장잠재력이 큰 국가들을 중심으로 경제협력을 강화해 대미·대중 교역비중을 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미국 신정부가 출범한 만큼 양자 협의채널을 빠른 시일 내에 가동하고 필요할 경우 범부처 대표단을 미국에 보내 통상·투자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환율조작국 지정 기준(200억달러) 밑으로 대미 경상수지 흑자를 줄이기 위해 셰일가스 등 원자재에 이어 미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항공기, 자동차,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설비 등 수송장비와 산업용기기 수입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대미무역흑자는 233억달러였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 이후 비관세장벽을 높이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는 한·중 경제장관회의 등 양자채널을 통해 소통을 늘리고 필요할 경우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적극적인 해결 노력을 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세계 교역 위축, 통상마찰 확산 등 급변하는 환경 변화를 감안해 2013년 수립한 신통상 로드맵을 보완해 3월 중 발표한다. 이밖에 중미·에콰도르·이스라엘과의 FTA를 마무리하는
[조시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