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과 견줘 1.0% 상승했지만 체감 물가 상승률은 공식지표의 9배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식 실업률도 4%를 밑돌았지만 체감 실업률은 11%가 넘었다.이에 따라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경제고통지수는 공식지표보다 12배 큰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18∼19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천30명에게 전화면접 조사한 결과 지난해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23.7p로, 정부 공식지표에 따른 고통지수(2.0p)의 11.9배에 달했다.
경제고통지수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에서 국민소득 증가율을 제한 것이다.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공식 경제고통지수보다 큰 것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체감 지표가 공식지표보다 크고 체감 경제성장률은 공식지표보다 작아서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물가상승률이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로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체감 물가상승률은 9.0%로 공식지표보다 8.0%포인트 높았다.
식료품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항목 위주로 물가가 뛴 점이 체감 물가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실업률(3.7%)보다 7.7%포인트 높은 11.4%로 나타났다.
일할 의사가 있고 일자리가 주어지면 당장 일할 수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거나 오랜 구직활동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해 취업 자체를 포기한 '니트족' 등이 공식 실업자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설문조사에 나온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 지표 중 체감 실업률로 간주되는 고용보조지표 3(10.7%)보다도 0.7%포인트 더 높았다.
경제성장률도 체감과 공식지표가 괴리돼 있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1년 전보다 2.7% 늘었지만, 설문 결과 국민은 경제성장률을 -3.3%로 인식하고 있었다.
체감 지표로만 보면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이고 물가는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태인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여성, 20대 청년과 고령층의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체감 경제성장률·물가 상승률 격차는 작았지만 체감 실업률이 고령층과 청
정 의장실 관계자는 "청년층, 고령층의 체감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며 "체감 물가 안정을 위해선 정부비축분을 통해 식료품 가격을 안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유통구조를 효율화해 농산물 가격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