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왕립화학회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 에이`에 실린 논문 표지 [자료제공 = KAIST] |
1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양민양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필름형 슈퍼커패시터 제조방식을 대체하고 성능을 높이는 새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10단계가 넘던 제조공정을 1단계로 압축한 것이다. 기존 전지는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성능이 떨어졌는데, 단일공정으로도 쉽게 핵심 재료와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찾았다.
슈퍼캐퍼시티는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보다 빠른 충전 속도, 긴 수명, 높은 출력을 가지는 게 특징이다.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 저장소자로 꼽힌다. 특히 유연한 기판 위에 만드는 필름형 슈퍼커패시터는 하나의 필름 위에 전극의 모든 요소를 넣기 때문에 웨어러블 전자소자 회로에 직접 연결해 전원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까지 포함하는 유연한 전자기기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기존에는 한 필름에서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는 과정에서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높은 공정이 동반됐다. 표면적이 넓은 금속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진공증착 등 반도체 공정을 이용했으며, 표면적을 추가로 넓히는데 비싼 설비와 두 단계의 화학 공정을 거쳐야 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빠르고 저렴한 방법을 찾아냈다. 나노미터 단위의 구멍이 전극 안에 무수하게 많은 '은(銀) 전극'을 만들어내 슈퍼캐퍼시티 전극으로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금속 나노용액보다 저렴한 유기금속 화합물 용액에 레이저를 쏘는 방식으로 미세한 은 전극 패턴을 생성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지는 4초 안에 초고속으로 충전이 가능하며, 5000번 이
이번 연구는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 에이(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12월 21일자 표지논문에 선정됐다.
[김윤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