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KT] |
14일 KT의 무약정 LTE 데이터 선택 요금제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 제공량을 기준으로 단순 비교가 가능한 4개 구간 중 2개 구간에서 무약정 요금제가 약정 요금제보다 각각 12.5%, 16.7% 비쌌다.
무약정 LTE 데이터 선택 49.3 요금제는 약정 LTE 데이터 선택 54.8 요금제와 데이터 제공량이 6GB로 같다. 요금은 무약정 요금제가 16.7% 더 높다. 또 무약정 LTE 데이터 선택32.8와 약정 LTE 데이터 선택 38.3은 데이터 제공량이 1GB로 동일한데 가격은 12.5% 차이가 났다.
LTE 가입자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6~7GB에 머물러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요금제가 큰 가격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또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약정을 맺는 게 유리하다. 선택약정의 할인율이 지난해 20%에서 25%로 조정되면서 혜택이 커졌다. 또 12개월 약정도 가능해 24개월만 가능하던 과거보다 부담이 적다.
KT는 이번 요금제를 자급제용 스마트폰, 중고 단말을 구매해 개통하는 고객을 겨냥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가입할 때 약정을 하지 않아도 더 많은 혜택을 주겠다는 취지다. 실제 데이터 제공량은 무약정 요금제가 약정 요금제보다 2~3.3배 많다. 또 LTE 데이터 제공량 20GB와 30GB 구간에서는 20GB의 월정액은 같고, 30GB의 경우 무약정이 더 쌌다. 헤비 유저에게 유리한 구조다.
선택약정은 월정액 요금의 일부를 깎아주는 방식이기에 이동통신사의 매출을 감소시킨다. 무약정 요금제를 출시해 가입자를 분산하면 회사 실적에는 긍정적인 이유다. KT도 이같은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선택약정 가입자는 지난해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일각에서는 새 요금제의 혜택을 누릴 고객이 제한적이라고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