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는 22일 발표한 '중소·중견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인도의 식품 제조·가공, 자동차, 전기전자 등 제조업 밸류체인(Value Chain)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식품 제조·가공 및 포장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현지 기업의 제조 기술력, 물류 인프라 등이 열악해 한국 포장재·가공기계·콜드체인 기술 수출과 현지 유통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한 진출이 유망하다. 또한 인도의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은 연구·개발(R&D), 애프터서비스(A/S) 등에서 해외 기업에 주로 의존하고 있어 우리 기업의 기술력과 고객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지 진출 성공 가능성이 높다. 반면 미래산업인 정보통신기술(ICT), 전자상거래, 스마트시티 등의 경우 우리 기업의 인도 내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ICT와 전자상거래 산업의 경우 미국, 중국 등 글로벌 기업과의 자본력 차이로 기술 및 투자 경쟁에서 뒤지며 인도에서 우리 기업의 인지도도 낮았다"면서 "인도는 오는 2020년까지 100개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기 위해 대형 인프라 사업 발주를 추진하고 있지만, 한국은 정부 차원의 프로젝트 참여 전략 및 지원
[황순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